김용민 앵커>
6.10 민주항쟁 기념식이 오늘 오전 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개최됐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민주주의는 제도를 넘어 우리 삶 속으로 스며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진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진향 기자>
제33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장소: 오늘 오전, 옛 남영동 대공분실)
올해 6.10민주항쟁 기념식은 수많은 민주화 운동가들을 고문하고 탄압했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개최됐습니다.
3년 만에 기념식을 다시 찾은 문재인 대통령은 일상의 민주주의를 강조했습니다.
제도로서의 민주주의가 잘 정비돼 있지만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를 누리고 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민주주의가 당연하다고 느낄 때일수록 우리는 민주주의에 대해 더 많이 질문해야 합니다. 민주주의는 제도를 넘어 우리의 삶 속으로 스며들어야 합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더 많은 민주주의, 더 큰 민주주의, 더 다양한 민주주의를 향해가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민주화 유공자들이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도 치하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우리의 민주주의가 이만큼 오기까지 많은 헌신과 희생이 있었다며 민주주의 발전 유공자 12명에게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했습니다.
박종철 열사의 아버지 고 박정기 씨,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 등이 훈장을 받았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오늘의 훈포장은 정부가 드리는 것이지만, 자랑스러운 민주주의의 역사와 감사하는 국민의 마음을 대신할 뿐입니다. 국민과 함께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를 전합니다."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기념식이 열린 것에도 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민주인사들이 독재와 폭력의 공간을 민주화 투쟁의 공간으로 바꿔냈다며 이제 남영동은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민주주의 역사를 기억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나아가 정부는 반드시 4.3의 명예회복을 이루고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온전히 규명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김정섭 / 영상편집: 김종석)
문 대통령은 기념식이 끝난 뒤 박종철 열사가 물고문으로 사망한 대공분실 509호 조사실을 방문해 헌화했습니다.
유진향 / feelyka@ktv.go.kr>
현직 대통령이 남영동 대공분실을 찾은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청와대는 민주주의 정신과 인권존중 정신을 미래 세대에 전승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KTV 유진향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