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내일 제1회 청년의 날···청년 정책 현주소와 과제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내일 제1회 청년의 날···청년 정책 현주소와 과제는?

등록일 : 2020.09.18

최대환 앵커>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바로 내일인데요, 내일은 대한민국 법이 정한 '청년의 날'입니다.
청년의 권리 보장과 정책 발전을 위한 과제를 살펴봅니다.

임보라 앵커>
청와대 사회혁신수석을 역임한 서울시립대학교 하승창 초빙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최대환 앵커>
올해 처음으로 맞이하는 법정기념일인데요, 청년의 날 개요와 의미부터 짚어주시죠.

임보라 앵커>
그동안 청년을 가리키는 연령 범위도 천차만별 이었는데요, 청년정책을 추진하려면 그 명확한 범위를 규정하는 게 필요합니다.
지난 1월 국회를 통과한 청년기본법으로 이 문제가 해결되었는데요, 어떻게 규정되었는지 법안 주요 내용을 짚어주신다면요?

최대환 앵커>
작년부터 정부는 청년들과 직접 소통하며 청년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파악에 나섰습니다.
청년들의 목소리가 궁금합니다.
교수님께서도 누구보다 청년들을 많이 만나며 들어오셨을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임보라 앵커>
이러한 변화가 있으려면 정책이 수반되어야겠죠.
올해 국무조정실 청년정책 추진단이 주관하는 2020 청년정책 컨퍼런스에서 청년들과 함께 청년정책의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정책대상자인 청년들이 직접 참여하는 건데요,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정부도 청년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지원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 주거복지 문제가 늘 중요한 이슈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정부는 지난 6월, 다양한 방식의 공공주택을 공급하고 주택 자금지원 제도에 대한 개선도 약속했습니다.
관련 과제 짚어주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코로나 시대,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앞으로 어떤 부분이 보강되어야 할까요?

최대환 앵커>
교육 부문에 있어서도 획기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해 보입니다.
중요성 어떻게 보시나요?

임보라 앵커>
정부의 지원책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청년들이 직접 정책의 주체로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참여하는 게 굉장히 중요할 것 같습니다.
관련 과제와 당부 말씀, 마무리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서울시립대학교 하승창 초빙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