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북한 땅이 한눈에, 김포시 '애기봉평화생태공원’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북한 땅이 한눈에, 김포시 '애기봉평화생태공원’

등록일 : 2021.11.09

김태림 앵커>
김포 애기봉 전망대가 새 단장을 마치고 평화생태공원으로 5년 만에 다시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애기봉은 북녘땅과 거리가 1.4㎞밖에 안될 정도로 최북단에 있는데요.
북한 땅이 한눈에 들어오는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에, 박길현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길현 국민기자>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 경기도 김포시)
400km를 흘러 서해를 만난다는 조강과 휴전선 바로 위쪽에 위치한 개풍군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현장음> 안병은 / 해설사
"조강은 임진강 하구 예성강, 한강 그다음에 연화강이 합쳐져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곳입니다"

손에 잡힐 듯 가까운 북녘땅의 모습에 관람객들은 눈을 떼지 못합니다.

현장음> 기준범 / 서울시 강서구
"이북이 여기서 1.4km 떨어진 거리에 있다고..."

현장음> 허정연 / 서울시 강서구
"여기서 1.4km밖에 안 떨어져 있다고?"

현장음> 기준범 / 서울시 강서구
"응, 저곳이 이북이래"

70여 년 넘게 발길이 닿지 않은 생태 보고 조강.
남과 북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저어새들과 물속을 유영하는 물고기들을 미디어로 만나봅니다.

인터뷰> 김해진 / 충남 천안시
“손 뻗으면 닿을 거리인데 무엇보다 생태가 잘 보전돼 있다는 게 눈으로도 느껴져서 황홀하고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동쪽으로는 파주 오두산통일전망대, 서쪽으로는 강화도가 보이는 애기봉은 높이 154m의 봉우리인데요.
북한 개풍군 일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최단 거리 전망대로 조강과 북녘땅의 풍경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황금벌판에서 추수가 한창인 북한 주민들.
망원경을 통해 본 북녘 농촌의 가을 모습은 우리와 달라 보이지 않습니다.

현장음> 권홍택 / 해설사
"여기 벼 벤 자리가 보이죠? 일주일 전에 낫으로 7명이 오전에 벤 것을 제가 눈으로 직접 봤어요"

DMZ의 녹슨 철조망,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서 나온 탄피, 애기봉 성탄 점등탑 등을 녹여 만든 평화의 종은 전쟁의 아픈 상처와 한반도 평화의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인터뷰> 윤현미 / 경기도 김포시
“탄피로 이 커다란 종을 만들었다니 얼마나 많은 젊은 사람이 죽었겠습니까... 너무 가슴이 아파요. 사실 저희 아버지도 상이용사셨거든요. 또 시아버지도 그랬어요.”

인터뷰> 김기창 / 서울시 서초구
“개성이 고향인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전에 저 곳 한 번 가볼 수 있으면 참 좋겠네요.”

새 단장한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은 전망대와 평화생태전시관.
북한의 유적지로 여행을 떠나볼 수 있는 VR 체험 공간, 야외공연장으로 이뤄졌는데요.
높은 관심 속에 시민들이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장음> 김종욱 / 전남 여수시
"이곳에서 군 생활을 했는데 신혼여행 와서 보니까"
"더 가깝고 손만 뻗으면 닿을 것 같아..."

현장음> 김경윤 / 전남 여수시
"이걸로 보니까 정말 코앞에 있는 것 같아"

인터뷰> 유필선 / 경기도 김포시
인천에서 새우젓을 싣고 마포까지... 이곳이 조광포라고 들었습니다. 조광포가 옛날에는 컸어요. 한강, 임진강 이곳이 조강 아니에요? 세 군데가 만나서 조금 오르면 예성강이 있습니다. 예성강이 흘러서 저 서해로 (흘러가는데) 하루빨리 통일이 되어서 실향민들도 왕래할 수 있도록...“

(촬영: 이상초 국민기자)

김포 애기봉평화생태공원은 개관을 기념해 오는 12월까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는데요.
전시관에서 전망대로 이어지는 흔들다리와 테마별 소주제공원은 내년 6월 말까지 조성됩니다.

국민리포트 박길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