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지역은 대중교통이 많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똑타' 앱으로 호출하면 버스가 찾아오는 교통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했습니다.
오한결 국민기자>
(대부도 / 경기도 안산시)
이곳은 안산시 대부도.
그동안 섬 내부를 오가는 버스 배차 간격이 길게는 3시간이나 됐는데요.
이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불편이 컸습니다.
인터뷰> 김정례 /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 어르신들은 가고 싶은 곳을 가지 못할 때가 정말 많아요. (어쩔 수 없이) 그분들이 택시 타고..."
오한결 국민 기자
"저는 지금 안산 대부도에 나와 있습니다. 이제 똑타 앱을 활용해서 똑버스를 호출하면 대부도 구석구석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대부도의 한 경로당 앞, 어르신들이 은행에 가기 위해 '똑타' 앱에 접속한 뒤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해 '똑버스'를 호출합니다.
현장음>
"맞나? 맞는 것 같네, 맞아, 잘됐네~"
얼마 지나지 않아 경로당에 ‘똑버스’ 가 도착했습니다.
똑버스는 ‘똑똑하게 타다’라는 뜻인데요.
똑버스 운전기사는 주민 반응이 좋아 이용자가 늘고 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홍석민 / 똑버스 운전기사
"똑버스가 생기고 나서 택시 같이 부르면 오니까 평일에 많을 때는 25~30명 정도 이용하시고요."
경로당에서 은행까지는 4km, 어르신들이 '똑버스'에 탄 뒤 도착까지 단 8분이 걸렸습니다.
그동안 정류장까지 걸어가는 것도 만만치 않은 데다 배차 간격이 20분이 넘어 불편을 겪었던 어르신들, 상당히 편해졌다며 좋아합니다.
인터뷰> 똑버스 이용 어르신
"이렇게 똑버스가 생겨서 너무 좋아요."
인터뷰> 김정례 / 경기도 안산시
"똑타를 이용하게 되면 (이동 시간이) 20~40분은 빨라질 수 있다고 봐야 해요."
똑타 앱 서비스는 경기교통공사가 새롭게 개발한 플랫폼, 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 즉 수요응답형 버스로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예약부터 결제까지 스마트폰 앱 하나로 가능한데요.
대부도에서 지난달부터 운행되기 시작한 '똑타버스'는 11인승으로 모두 넉 대, 요금은 시내버스와 같은 1,450원에 수도권 환승 할인 혜택도 받는데요.
교통카드(G-pass)를 이용하면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무료입니다.
수도권에서 찾아오는 관광객들도 ‘똑버스’를 타고 저렴한 비용에 섬여행을 즐길 수 있게 됐는데요.
똑버스를 이용하는 주민은 대부분 고령층, 스마트폰 기기가 익숙하지 않아 호출할 때 어려움도 있습니다.
현장음>
"맞나, 이거 제대로 했나? 모르겠네..."
인터뷰> 신현각 / 안산시 대중교통과 버스팀 주무관
"똑타 앱 설치를 어려워하는 부분들이 계세요. 안산시에서는 경로당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똑타 설치 지원과 사용법을 안내해 드리면서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취재: 오한결 국민기자 / 촬영: 최미숙 국민기자)
경기도내 '똑버스' 운행은 지난 2021년 파주에 시범사업으로 도입된 뒤 대부도가 두 번째입니다.
오한결 국민기자
“수요자 중심으로 이동 편의를 돕는 ‘똑타’, 교통 소외지역이 없도록 앞으로 이런 서비스가 더욱 확대되길 기대해 봅니다.”
국민리포트 오한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