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피우지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의에서 외교 수장들이 북한군 러시아 파병에 대해 공개 규탄 했는데요, 또한 한국과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은 회담을 통해 러북 군사협력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이 시간 이 내용과 함께 한국 수출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올해 10월까지의 반도체·자동차 수출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견조한 흐름에도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비하겠다는 방침인데요.
자세한 내용 서울 스튜디오에서 짚어봅니다.
박성욱 앵커!
박성욱 앵커>
네, 대담 이어갑니다.
한국과 우크라이나 협력 가능성과 수출 현황에 대해 조현정 시사평론가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조현정 / 시사평론가)
박성욱 앵커>
지난 25일(현지시간) 한국과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이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만났습니다.
최근 러북 협력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한·우크라이나 외교장관 회담의 주요 의제는 무엇인가요?
박성욱 앵커>
우크라이나 특사가 곧 방한 한다고 예고했는데요.
방한은 어떤 의미이고, 어떤 대화가 오갈까요?
박성욱 앵커>
러시아가 한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가능성에 대해 엄중 경고했는데요.
우크라이나 지원 시 한-러 관계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박성욱 앵커>
26일(현지시간) 러시아 나리시킨 국장은 "러시아는 한국식 시나리오든 다른 방식을 따르든 분쟁을 동결하는 어떠한 제안도 단호히 거부한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의미인지 짚어주시죠.
박성욱 앵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언급한 가운데, 그의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가 한국의 무기 지원 논의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박성욱 앵커>
한편에서는 국민들 사이에서도 우크라이나 지원에 반대하는 입장이 있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박성욱 앵커>
이야기 바꿔보겠습니다.
11월 수출동향 점검회의에서 올해 1~10월 수출이 5658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무역수지는 2018년 이후 최대라고 하는데요.
현재 우리나라 수출 상황은 어떠한가요?
박성욱 앵커>
우리나라 수출을 이끌어가는 핵심 동력인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의 수출 성과에 대해 자세히 짚어주시죠.
박성욱 앵커>
이러한 견조한 수출 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 산업통상자원부는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수출 경쟁력을 점검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어떤 내용인가요?
박성욱 앵커>
K-푸드 수출 실적 또한 오르고 있습니다.
올해 김 수출액이 2년 연속 1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요?
박성욱 앵커>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그의 감세와 관세 정책이 한국의 수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조현정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