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당 울리는 '김 중사' 누구
최근 군 관계자를 사칭한 노쇼 사기가 기승을 부리는 사건이 있었다. 충북 충주에서 한 달 동안 불고기 백반집 등 5개 식당에서 노쇼 피해가 발생했으며 인천 영종도와 강화도 음식점 7곳에서도 자신을 군부대 부사관이라고 밝힌 뒤 대량의 음식을 주문하고 잠적 사건이 있었다. 가게에 전화를 건 휴대전화 번호는 제각각이었으나 수법은 비슷했다. 군부대 중사를 사칭해 음식을 대량 주문한 뒤 다음날 가져가겠다고 하고 연락을 끊는 식이다. 현재 경찰청은 군부대가 밀집한 강원경찰청 형사기동대를 집중수사관서로 지정하고 사건을 병합 수사 중이다.
■ 노쇼, 자영업자에겐 생존의 위기
노쇼를 경험한 자영업자들에 의하면 약속 시간이 됐는데 예약자가 나타나지 않고 연락도 안 되면 말 그대로 멘털이 무너진다고. 자영업자들은 노쇼로 경제적 손실을 떠안는 건 물론이고 장사를 접을 생각까지 하고 있다 호소한다. 현대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노쇼로 인해 매년 주요 서비스업종에서 발생하는 매출 손실은 4조 5000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처럼 피해가 심각하지만 자영업자 입장에서 마땅히 방어할 수단은 없는 상황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현재 법적으로 노쇼 자체를 처벌하는 규정은 없는데 다만 의도적인 예약 불이행이라면 위계(속임수)에 의한 업무방해죄로 처벌할 수 있다. 허나 노쇼 가해자의 ‘의도성’을 입증하는 건 쉽지 않다.
■ 예약보증금·부도위약금 현실화 한다
노쇼로 인한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커지자 지난 2018년 공정거래위원회는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개정해 외식업장에서 일정 기간 이후에 예약을 취소할 경우 예약보증금(통상 이용금액의 10%)을 위약금으로 내게 한 바 있다. 문제는 현행 규정으로는 다양한 노쇼 상황을 전부 포함할 수 없는 데다 피해를 보상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단 점이다. 이에 공정위는 내년 상반기까지 예약보증금과 위약금의 규모를 현실화 하는 등 구체적인 규약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