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의 증대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투자를 유치하는 일입니다.
정부가 24일 외국인투자 유치를 늘리기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최대환 기자>
FTA를 통한 통상의 목표는 이렇게 요약될 수 있습니다.
정부가 한미FTA 타결을 기반으로 유럽연합과 캐나다 등 FTA를 가속화하는 시점에,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은 이유입니다.
먼저 외국인 지분이 없는 토종기업도 외국인투자기업의 협력업체일 경우 외국인투자지역 입주가 제한적으로 허용됩니다.
이같은 조치는 외국인투자기업과 토종기업들 간에 공정을 단축하고 물류비용을 줄이는 등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미FTA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들도 마련됩니다.
미국투자 유치를 전담하는 USA 데스크가 설치됩니다.
또 오는 10월쯤엔 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개성공단 투자 설명회를 열 계획입니다.
여기에 외국인투자자들이 기업하고 생활하기에 불편함이 없는 국제적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이 더해집니다.
이밖에도 정부는 기계, 화학, 반도체, 자동차 등 산업구조를 고도화시키는 데 꼭 필요한 10개 산업을 선정해 외국인 투자 유치 노력을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국경 없는 자유무역의 시대, 수출 다변화와 함께 경제 선진화의 한 축인 투자 유치 촉진을 위한 잰걸음이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