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오는 8일 만료되는데요.
미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주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율을 논의할 것이라며 무역상대국 압박에 나섰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발표했습니다.
상호관세율은 4월 9일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효력 발생일을 90일 유예했습니다.
유예기간 만료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미 백악관은 현지시각으로 30일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주 무역 담당 참모들과 만나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율을 논의한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유예 종료가 임박했음에도 무역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전방위 압박에 나선 겁니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등을 의제로 무역협상을 진행했고, 영국과는 합의를 도출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유예 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며 "그는 그들이 선의로 협상하려 하지 않는다면 많은 나라들에 관세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캐롤라인 레빗 / 백악관 대변인
"각국이 만약 성실하게 협상하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율을 그냥 확정할 겁니다. 이번 주에 무역팀과 만나서 상호관세율을 결정할 것입니다."
일본에 대해서는 이틀 연속 관세율이 명시된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압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을 존중하지만, 그들은 대규모 쌀 부족을 겪고 있음에도 우리 쌀을 수입하려 하지 않는다"고 SNS에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들에게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앞으로도 수년간 그들을 무역 파트너로 유지하길 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루 전에도 일본은 미국산 자동차를 거의 수입하지 않지만 미국은 일본 자동차를 수백만 대 들여온다며 불공정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본과 그동안 장관급 협의만 7차례 진행했지만 진전이 없자 압박수위를 높인 것으로 보입니다.
계엄사태 후폭풍으로 제대로 된 협상이 없던 우리나라는 새 정부 출범 후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협상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