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패션을 선도해 나갈 제1회 대구국제패션페어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됐습니다. 하지만 대구가 세계적인 패션의 도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아직 남은 과제가 많습니다.
최고다 기자>
패션의 본 고장 이탈리아. 그중에서도 연간 300회 이상의 크고 작은 패션쇼를 여는 밀라노는 지구촌 패션 트렌드를 선도하는 도시입니다.
하지만 밀라노가 단순히 패션쇼를 많이 열어 오늘날의 패션도시로 성장한 건 아닙니다.
제직과 염색 등의 기술 인프라가 공고하게 구축돼 있고 무엇보다 세계패션 시장이 원하는 다품종 소량생산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산업단지가 형성돼 있기에 가능했습니다.
섬유의 도시 대구를 중심으로 산업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밀라노 프로젝트.
세계 패션 시장을 이끌겠다는 야심 찬 계획인 밀라노프로젝트도 패션산업 성공의 필수요건이라고 할 수 있는 산업 인프라 구축을 병행해 나갑니다.
프랑스, 미국, 일본 등 9개 국가 58개 업체가 대거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막을 내린 대구국제패션페어도 산업자원부의 밀라노 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하지만 밀라노프로젝트를 통해 패션산업인프라 구축에 성공했다고 해서 곧바로 대구가 세계적인 패션 도시로 거듭나진 않습니다.
상품기획과 마케팅, 기업관리 등에서 업계의 지속적인 보완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 될 때 세계 패션을 이끄는 패션 도시 대구의 꿈이 이뤄질 것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