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다시는 전쟁 없어야"···6·25 전쟁 격전지 찾은 노병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다시는 전쟁 없어야"···6·25 전쟁 격전지 찾은 노병들

등록일 : 2020.06.19

윤현석 앵커>
6.25 전쟁 당시 광주의 유일한 격전지인 '산동교', 혹시 알고 계시나요?
북한군에 맞서 우리 군경이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곳인데요.
6.25 전쟁 70주년을 맞아 이곳을 찾은 참전용사들은 이 땅에 다시는 전쟁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임보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임보현 국민기자>
6·25 전쟁이 난 뒤 한 달 가까이 지난 1950년 7월 23일, 호남지역으로 밀고 내려온 북한군이 급기야 광주까지 들이닥쳤고 영산강을 가로지르는 산동교에서 아군과 전투를 벌였습니다.

제가 서 있는 이곳이 광주의 유일한 6·25 전쟁 격전지인 산동교인데요.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이곳 다리 곳곳에는 지금도 총탄 자국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교각을 살펴보면 빗발쳤던 총탄 자국을 어렴풋이나마 볼 수 있는데요.
탱크 3대를 앞세운 북한군에 맞서 소총으로 무장한 우리 군과 경찰이 5시간 동안 싸웠던 산동교 전투, 30여 명이 전사하고 50여 명이 부상당하는 사이에 시민들이 몸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6·25 전쟁 70주년을 앞두고 이곳을 찾은 참전용사들.

현장음>
"저것이 총탄 자국같이 보입니다. 다리 옆에..."

인터뷰> 유정상 / 6·25 전쟁 참전용사
"소총 가지고 탱크를 상대로 총을 쏜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 치기이고 도저히 상상할 수 없고 불가능한 전쟁이었어..."

호남에서 낙동강으로 가는 길목이던 산동교, 1930년대에 세워진 길이 228m의 작은 다리인데요.
전쟁 당시의 다리 모습이 담긴 사진과 함께 산동교 전투를 설명한 안내판이 설치돼 있습니다.
백발이 된 세 분의 노병들, 전사한 호국영웅들을 추모하며 머리를 숙입니다.

현장음>
"일동 묵념!"

다리 곳곳을 거닐어보는 참전용사들.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악몽 같은 전쟁의 기억은 너무도 또렷하기만 합니다.

현장음>
"(포탄 날아오는) 소리가 '휭'하면 넘어갔다. '훅'하면 그 앞에 떨어졌다..."

전쟁터의 처절한 현장을 생생하게 증언하듯 하나하나 떠올리는 노병들.

현장음>
"부상자들도 우리가 전부 다 업어 내려오고 후송시켜서 살려 놓고..."

현장음>
"(전쟁터에) 갈 때는 웃으면서 가는데 (돌아올 때는) 전부 시체로 와. 그런 참혹한 전쟁사가 지금도 마음에 아련히 새겨져 있다고..."

감회에 젖은 노병들, 청춘을 바쳐 나라를 지켰던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간 듯 힘차게 거수경례를 해봅니다.

현장음>
"경례! 충성!"

(보훈회관 / 광주시 광산구)
6·25 참전용사들은 전쟁을 함께 겪었던 전우들을 만나보기도 했는데요.
전쟁 당시 사진도 보고 호국영웅에게 수여 되는 훈장도 보면서 지난날을 회상해봅니다.

인터뷰> 이석춘 / 6·25 전쟁 참전용사
"전쟁이라는 것은 참으로 비참한 것입니다. 젊은 여러분들은 선열들의 희생정신을 되새겨서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잘 이어나가길 바랍니다."

전쟁의 아픔을 간직한 산동교는 현충 시설로 지정돼 역사의 산 교육장이 됐습니다.

인터뷰> 하유성 / 광주지방보훈청장
"많은 시민이 옛 산동교에 서린 역사를 모르십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평화가 거저 주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산동교는 현재 사람과 자전거만 오갈 수 있는데요.
온몸으로 나라를 지켰던 참전용사들의 소망은 단 하나뿐입니다.

인터뷰> 오달면 / 6·25 전쟁 참전용사
"다시는 이 나라에 전쟁이 없길 진심으로 바라고 또 바랍니다."

국민리포트 임보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