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이야기 할머니' 좁은 문···경쟁률 평균 7 대 1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이야기 할머니' 좁은 문···경쟁률 평균 7 대 1

등록일 : 2020.08.04

윤현석 앵커>
'이야기 할머니'라는 말 들어보셨습니까?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어린이들에게 옛날이야기 보따리를 풀어 놓는 '이야기 할머니'가 인기입니다.
매년 경쟁률도 높아지고 있는데 올해는 지원자가 7천 명이나 몰렸습니다.
유정순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유정순 국민기자>
이야기 할머니 지원자들이 면접 순서를 기다립니다.
준비한 옛날이야기를 잘 풀어낼 수 있을까 하는 걱정에 외우고 또 외워봅니다.
코로나19로 면접 일정이 두 차례 연기된 터라 지원자들의 마음은 더 초조합니다.

현장음>
"(왜 이 일을 하고 싶으세요?) 저도 옛날에 그런 추억이 있거든요."

인터뷰> 최정숙 / 인천시 부평구
"많이 기다렸어요. 이야기 할머니가 꼭 되고 싶은 마음에 이걸 연기하면서 지금까지 하루도 잊어본 적 없어요."

워낙 지원자가 많다 보니 면접 관문을 통과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할머니들은 아이들과 만날 기대에 부풀어 있습니다.

인터뷰> 임성현 / 인천시 연수구
"코로나19 때문에 자꾸 미뤄져서 굉장히 속상했었는데요. 드디어 오늘 면접을 봤는데 꼭 이야기 할머니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인터뷰> 허혜순 / 경기도 고양시
"아이들과 사랑과 기쁨으로 만날 수 있는 시간이 됐으면 해서 지금 가슴이 콩닥콩닥 뛰고 아이를 만날 생각을 하니까 희망도 있고 기대로 굉장히 부풀어 오릅니다."

현장음>
"(개굴개굴...) 개굴개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학진흥원이 2009년부터 시작한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사업은 인기입니다.
경쟁이 치열하고 교육과정도 쉽지 않지만 보람이 있고 한차례에 활동 수당도 4만 원씩 받을 수 있어 할머니들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정자 / 경기도 광명시
"아이들과 같이 즐겁게 저도 배워가면서 또 가르쳐가면서 한다는 게 정말 보람되고 좋은 것 같아요."

올해는 지원자가 7천 명이나 몰렸습니다.
서울의 경우 15 대 1, 광주 남구는 무려 54 대 1일 정도로 인기가 대단합니다.
당초 예정보다 3백 명이 많은 천 3백 명을 선발했는데 이는 지난해 330명보다 4배나 많은 겁니다.

전화인터뷰> 김종석 / 이야기 할머니 사업단장
"유아교육 기관이 대략 3만 개 정도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야기 할머니들이 실제 나가서 활동하는 기관이 절반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최소한 절반이라도 넘겨야겠다 해서 이번에 천 3백 명 대폭 모집인원을 확대해 모집하게 되었습니다."

(촬영: 차경미 국민기자)

이야기 할머니는 일정한 교육을 거쳐 유아교육 기관의 어린이들에게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는 건데요.
2009년 30명으로 시작해 현재 2천 8백여 명이 8천여 개 유아 기관에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유아들에게는 인성교육을, 할머니들에게는 자긍심을 높여주는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사업이 날로 인기를 더해 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유정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