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사라진 문화유산, '그림'으로 다시 태어나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사라진 문화유산, '그림'으로 다시 태어나다

등록일 : 2022.04.20

노소정 앵커>
우리 주변에는 오랜 세월 속에 훼손되거나 문헌으로만 남아있는 문화유산이 많은데요.
이런 문화유산들이 원형 그림 안내판 또는 첨단 기술을 접목한 실감 영상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오옥순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영상제공: 국립중앙박물관)

오옥순 국민기자>
(양주 회암사지 / 경기도 양주시)
고려 시대에 창건된 회암사가 있던 자리입니다.
빈터만 남았던 회암사지의 옛 모습이 그림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현장음> 김종임 / 회암사지박물관 학예연구사
"태조 이성계가 상왕으로 물러난 이후에 행궁을 짓고 머물면서 수도 생활을 하는 등 조선시대 최대의 왕실 사찰로 자리매김한 곳입니다."

곳곳에 남아있는 귀중한 유물들 부처의 사리가 봉안돼 있는 보물 제388호 무학대사탑.
하나하나 문헌 검토와 전문가 자문을 거쳐 원형을 그림으로 제작한 겁니다.
회암사가 있던 자리는 건물은 사라지고 빈터만 남았는데요.
문화재 안내 복원판을 통하여 다소나마 과거의 옛 모습을 상상할 수 있게 됐습니다.
회암사지는 고려말부터 조선 중기까지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했는데요.
그림에 설명을 깃들인 안내판은 관광객들이 화암사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명옥 / 경기도 화성시
“회암사지 투어를 하며 와서 보니 참 웅장하고 그 시대의 역사와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림으로 안내판도 설치해 놔서 그때(과거) 절의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죽주산성 북포루 / 경기도 안성시)

몽골군의 공격을 막아낸 안성 죽주산성입니다.
대포를 쏠 수 있게 설치한 누각인 포루가 그림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파사산성 / 경기도 여주시)

임진왜란 때 남한강의 길목을 지킨 사적 제251호 파사산성입니다.
훼손된 성벽과 소실된 성문이 색다른 안내판으로 등산 관광객을 맞이합니다.

(고양 벽제관지 / 경기도 고양시)

조선을 방문한 중국의 사절단이 머물던 고양벽제관지.

(연천 유엔군 화장장시설 / 경기도 연천군)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 전사자들이 화장된 유엔군 화장장 시설.
오랜 세월 속에 사라지거나 훼손된 경기지역 8개 문화유산의 원래 모습이 현장 그림 안내판으로 복원됐습니다.

인터뷰> 박병우 / 경기도 문화유산활용팀장
“관람객들이 원형이 사라졌기 때문에 '얼마나 답답할까' 아니면, '원래의 모습을 보면 얼마나 이해하기가 쉬울까' 이런 안타까운 마음에서 복원 안내판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왕의 행차, 백성과 함께하다' 전시 /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실감영상관)

현장음>
"왕의 행차, 백성과 함께하다."

디지털 기술로 만나는 정조의 화성행차입니다.
새벽 창덕궁을 출발해 화성의 불꽃놀이까지, 백성들과 함께하는 정조의 발걸음을 따라 역사 여행을 합니다.

(촬영: 이홍우 국민기자)

긴 세월을 거치면서 흔적 없이 사라지거나 문헌 속에 남아있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가상현실과 홀로그램 또는 그림 안내판으로 시민들과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오옥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