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수집가의 열정' 한국 근현대 미술 한자리에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수집가의 열정' 한국 근현대 미술 한자리에

등록일 : 2022.04.20

노소정 앵커>
우리나라 근현대 미술에 큰 발자취를 남긴 거장들의 작품은 언제봐도 질리지 않는데요.
수집가의 열정으로 세워진 한 미술관에서 이중섭부터 김환기까지 그야말로 내로라 하는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예술의 향기를 만끽하려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김담희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담희 국민기자>
(석파정 서울미술관 / 서울시 종로구)
미술관에 들어서자 눈길을 사로잡는 그림,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 이중섭의 <황소>입니다.
국민화가로 불리는 이중섭이 1953년에 그렸는데요.
조선인의 강인한 민족성을 보여주는 황소를 통해 이중섭 자신의 모습을 투영했습니다.
향토적인 소재로 표현한 독특한 작품에 관객들이 푹 빠집니다.

현장음>
"이중섭 선생님의 거침없는 붓터치가..."

인터뷰> 김종욱 / 서울시 서초구
“역시 이중섭 작가의 <황소> 작품은 가까이에서 보니까 더 힘 있고 역동적이며 감동적인...”

이중섭은 가족 그림을 자주 그렸는데요.
죽을 때까지 가족이 함께 사는 것을 꿈꿨던 애틋한 가족 사랑의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한국 추상화의 선구자인 김환기의 대표작 <아침의 메아리>.
이곳 미술관에서 처음 공개한 작품입니다.
은은한 푸른 색감이 동이 튼 직후 아침 하늘을 연상시키는데요.
1965년 김환기의 뉴욕 시절 대표적인 초기작으로, 새벽의 별빛과 아침의 소리가 공감각적으로 조화를 이룹니다.

현장음>
"또 보면 이렇게 수평선으로 점이 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거대한 화폭에 그려진 수만 개의 점.
김환기의 예술세계가 응축된 작품입니다.

인터뷰> 강은지 / 서울시 강동구
“여기 있는 이 작품(십만 개의 점)이나 저쪽에 있는 저 작품(아침의 메아리)을 보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 고향에 가고 싶다는 희망을 본 것 같습니다.”

작품의 동기가 됐던 김광섭의 시 <저녁에>를 배우의 내레이션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현장음>
"저렇게 많은 별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인터뷰> 강은지 / 서울시 강동구
“여기에서 이렇게 소리도 나와 시도 낭송해 주고, 그래서 더 이해가 잘 되는 것 같고...”

서울미술관이 문을 연 지 10주년 기념으로 마련한 특별한 전시, '두려움일까, 사랑일까'라는 주제로 우리나라 근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거장들의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인터뷰> 이시연 / 서울미술관 학예연구사
“주요 소장품 140점을 소개하고 있고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근현대 작가 31명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서민의 화가' 박수근의 195, 60년대 작품도 선보였는데요.
우물가 등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소박한 주제를 자신만의 화법으로 캔버스 위에 그려냈습니다.
천경자의 1976년 작품인 <내 슬픈 전설의 49페이지>.
코끼리 등에 엎드려 있는 여인을 통해 화가 자신의 내면에 잠재된 슬픔을 투영했습니다.

현장음>
"굉장히 자서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작품이고..."

인터뷰> 이광희 / 서울시 중구
“평소에 천경자 작가의 작품에 관심이 있어 직접 보니까 너무 좋았고요.”

미술 교과서 표지에도 실린 도상봉의 <정물>, 토속과 해학의 작가 최영림의 <봄동산>, 구성미가 돋보이는 문학진의 <소녀와 바이올린>도 만날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채색화를 현대적으로 변모시킨 박생광의 <범과 모란>, 호랑이띠 해를 맞아 그림 속 호랑이가 복의 기운을 전달합니다.
전시 작품마다 색다른 글을 덧붙여 시선을 끄는데요.
지난 40여 년간 작품을 수집해 미술관을 세운 안병관 회장의 수집에 얽힌 뒷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인터뷰> 이시연 / 서울미술관 학예연구사
“작가들이 작품을 제작하면서 느꼈을 두려움과 사랑이라는 양가감정, 그리고 미술품을 수집하는 수집가의 마음에서도 이 두려움과 사랑의 감정을 만나볼 수 있고요.”

이번 전시는 시대의 고난과 어려움 속에서도 굴하지 않았던 예술인들의 고뇌와 열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한규민 / 경기도 용인시
“작가들이 사랑했던 것들을 엿볼 수 있어서 정말 좋은 경험이었던 것 같아요.”

(촬영: 박성애 국민기자)

개관 10주년 기념전 '두려움일까 사랑일까’
▶ 일정: ~ 9월 18일까지
▶ 장소: 석파정 서울미술관

많은 미술 애호가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이번 전시, 오는 9월 18일까지 계속됩니다.
한국 근현대 미술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는 이번 뜻깊은 전시.
코로나19 사태로 지친 마음을 위로해 줄 수 있는 예술의 향기에 한번 빠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김담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