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식품 수급 현장 점검 "공급·가격 안정에 총력"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식품 수급 현장 점검 "공급·가격 안정에 총력"

등록일 : 2022.06.03

노소정 앵커>
요즘 국제 공급망 불안으로 식료품 원자재와 외식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은데요.
정부가 식품 원자재 공급과 가격 안정을 위해 현장 점검과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그 현장에 찾아가봤습니다.

김용옥 국민기자>
밀가루 1kg에 2,550원, 0.9리터 식용유 4,600원.
국제 수급 불안으로 물가가 오르면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미희 / 인천시 서구
“식용윳값이 너무 많이 올랐어요. 뉴스에서 식용윳값이 오른다고 해서 걱정했는데 와보니 너무 많이 올라서 서민들이 장보기 어렵고 주머니가 휘청휘청해요.”

우리나라는 소비되는 곡물의 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밀가루는 식재료로 워낙 널리 쓰이기 때문에 가격 인상이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는데요.
지난 3월 조사 대상 39개 품목의 외식 물가 6.6%를 기록했습니다.
식료품 원자재 수급 불안에 어려움을 겪기는 업계도 마찬가집니다.
인도네시아 팜유 수출 금지로 콩 식용유 수급도 원활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인터뷰> 김원형 / 검단농협 하나로마트 점장
“밀가루는 현재 공급이 원활하고 가격도 조금 오른 편이지만, 식용유는 현재 가격이 많이 올랐고 수급 자체가 몹시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식품 원자재 가격 안정을 위해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대한제분 / 인천시 중구)

먼저 찾은 곳은 국내 밀가루 생산량의 26%를 차지하는 인천의 제분 공장.
밀가루 수급 현황을 점검하고 업계의 애로사항을 파악합니다.

현장음> 대한제분 대표
"주요 밀 생산국들의 작황 부진에 따라 밀 생산량이 줄었고요."

현장음> 정황근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우리가 곡물을 주로 수입하는 큰 항구이기 때문에 제대로 수입이 되고 있는지, 또 수입한 우리 곡물이 잘 가공되고 있는지..."

이 공장에는 밀가루 6,000t 정도의 밀가루가 저장돼 있습니다.
수입 계약량까지 포함하면 아직 물량은 여유가 있습니다.
문제는 가격입니다.
지난달 19일 기준 밀가루 톤당 가격이 지난해보다 70%가량 올랐기 때문입니다.
정 장관은 하반기에는 추경을 통해 밀가루 가격 상승분의 70%를 정부가 보전해 제분 업계와 소비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장기적으로 밀가루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정황근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밀가루 물량 자체는 완벽하게 확보돼 있으니까 걱정 안 하셔도 되고요. 그다음에 가격이 많이 올라가는데 가격이 올라가는 것의 상당 부분을 정부가 업체에 보조해 줄 겁니다. 그래서 밀가루 가격이 최대한 오르지 않도록, 올려도 일부만 올리도록 할 것이기 때문에 국민분들은 미리 사놓는다거나 이럴 필요없고, 그러니까 한마디로 안심하시면 되겠다...”

식량 주권을 확보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5년 이내에 7, 8%까지 밀 경우는 자급도를 높이는 쪽으로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사조대림공장 / 인천시 서구)

이어 찾은 현장은 국내 최대 대두유 생산공장.
식용유는 가정은 물론 특히 치킨과 중국 음식 등 외식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
정 장관은 업계의 어려움을 듣고 현재 5%인 대두유, 해바라기씨유 등의 관세는 할당관세를 통해 인하하고 식품업계가 다양한 원료 수입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물가 안정을 위해 외식가격 공표제를 폐지하고, 중장기적으로 생산량 확대와 쌀가루 산업화를 통해 밀의 수입 의존도를 낮춰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촬영: 임수빈 국민기자)

정 장관은 축산업 현장도 방문했는데요.
농축산 정책 책임자의 현장 점검과 대책이 실효를 거둬 국민 생활과 직결된 식품 재료의 공급과 가격이 안정되길 기대합니다.

국민리포트 김용옥입니다.
 


( KTV 국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