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전통의 멋과 책의 어울림 '한옥 도서관' 확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전통의 멋과 책의 어울림 '한옥 도서관' 확산

등록일 : 2022.07.07

김민혜 앵커>
최근 전국적으로 한옥도서관이 하나 둘 늘고 있는데요.
'한옥마을'로 유명한 전주에는 연못 위에 한옥으로 지은 도서관이 들어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잇따라 생기고 있는 한옥 도서관을, 김민지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민지 국민기자>
(연화정 도서관 / 전북 전주시)
수려한 연꽃들 사이에 전통한옥 건물이 눈길을 끕니다.
지난달 2일 문을 연 연화정 도서관인데요.
매점으로 활용됐던 연화정이 멋진 한옥 도서관으로 탈바꿈했습니다.
푸른 연못 위에 떠 있는 듯 한옥의 아름다운 모습을 물씬 풍깁니다.

인터뷰> 박수본 / 전주시 덕진구
“연화정 건물이 고풍스럽고요. 정말 멀리서 봐도 오고 싶은 도서관입니다.”

이곳 한옥도서관은 ㄱ자 형태로 지은 도서관 공간을 비롯해 연화 마루와 독채 별관 등, 모두 세 동의 건물로 조성됐는데요.
도서관 공간은 연못 풍경을 감상하면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서가 높이가 낮게 설치됐습니다.
창가 아래에 줄지어 있는 책상 너머로 분홍빛 연꽃이 피어오른 연못이 보이는데요.
한옥의 고즈넉한 정취를 맛보며 독서 삼매경에 빠질 수 있습니다.
한옥과 한복, 한식 등 전통문화부터 신한류를 다룬 책 등 한옥분위기에 맞는 책이 중점 비치돼 있는 이곳, 책꽂이 사이사이에 있는 전통 소품이 한옥 분위기와 잘 어울리고, 책꽂이 선반에 전시된 백자와 복주머니가 눈길을 끕니다.

인터뷰> 김호경 / 전주시 덕진구
“시원하고 다양한 책도 많고, 나무 냄새도 나고 경치도 좋아서 도서관이 좋아요.”

도서관 옆에는 이용객들의 쉼터인 연화 마루가 조성됐습니다.
도서관 이용객들이 너른 마루에서 잠시 더위를 피할 수 있는데요.
편하게 앉아 담소를 나누거나 바로 눈 앞의 연못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분위기가 좋다 보니 한옥도서관 이용객이 평일에는 3-4백 명, 일요일에는 천 2백 명 정도, 문을 연 지 한 달 만에 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인터뷰> 이예본 / 연화정도서관 담당
“한국적 아름다움과 전주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한옥 도서관입니다. 전통적 목구조인 점·선·면 여백을 주제로 한 여러가지 도서들이 배치돼 있고요.”

(시립 금마 도서관 / 전북 익산시)

전북 익산에 있는 또 다른 한옥 도서관, 지난해 1월 문을 연 이곳은 전라북도 최초의 한옥 도서관으로 지역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데요.
지상 1층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만화책과 동화책이, 지하 1층에는 어른들이 읽을 수 있는 소설과 전문서적 등 모두 만 5천여 권이 마련돼 있는 이곳, 넓직한 대청마루도 있는 공간에서 책과 함께 할 수 있어 멀리서 일부러 찾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인터뷰> 유은찬 / 경북 구미시
“사람은 없고 책은 많은데 시원해서 좋아요.”

이곳 한옥 도서관 이용객은 하루 평균 130명 정도로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정은애 / 전북 익산시
“경치도 너무 좋고 시설도 깨끗이 잘 돼 있고 아이들도 도서관 오니까 집중도 잘하고 책도 재미있게 읽는 것 같아요.”

우리 고유의 멋을 흠뻑 느끼게 하는 한옥도서관,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면서 책도 읽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전통의 숨결을 느끼게 하는 문화공간인 한옥도서관이 잇따라 문을 열고 있는데요.
도시 미관을 높이는데도 한몫하는 만큼 더욱 확산되길 기대해봅니다.

국민리포트 김민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