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담희 앵커>
우리나라 근현대사 속 광고를 '실감형 영상'으로 보여주는 전시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시대별로 살펴볼 수 있어 관람객들의 관심이 높은데요.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정수연 국민기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서울시 종로구)
넓게 펼쳐진 화면이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1990년대 초 등장해 인기를 끌었던 휴대전화 광고가 대형 화면에 나타납니다.
현장음>
“같이 들을까?”
현장음>
“광고를 보니까 너무 신기하고요. 옛날 생각나서 좋은 것 같아요.”
우리나라 근현대사 속에 등장한 광고를 돌아보는 전시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렸는데요.
전시장의 네 벽면과 두 기둥에 투사된 프로젝터 영상들, 그리고 서라운드 음향시스템을 통해 예전의 다양한 광고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오경운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여러 시대의 광고를 감상하고 많은 사람이 문화와 세대 간의 가치를 공유하는 기회가 되길 바라는 취지로 이번 전시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4개 주제로 나눠 전시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이곳은 시대별로 대중의 소비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전시 공간, 신문물이 물밀처럼 들어오던 개항기 시절에는 말라리아 치료제와 국산 소화제 광고가 많이 등장했습니다.
8.15 광복과 6.25 전쟁 후에는 생활필수품 광고가, 1970년대에는 아파트가 많이 보급되면서 주거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가전 광고를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인터뷰> 황유선 / 서울시 동대문구
“옛날 엄마, 아빠가 쓰던 가전제품 광고를 보면서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었고요. 너무 재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지난 시절 식품 광고를 통해 대중의 소비문화를 엿볼 수 있는 전시 공간, 6·25 전쟁 당시 식량난 해결에 밀가루가 여러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는 광고가 눈길을 끕니다.
1960년대 초 처음 시장에 선보여 기를 끌었던 라면 광고도 볼 수 있습니다.
경제성장이 한창인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는 식료품과 관련된 CM송이 크게 유행했는데요.
현장음>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광고 속 대사나 노래가 대중 속에 파고들던 그 시절, 한 조미료 광고의 유명 대사는 장안의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현장음>
“그래, 이맛이야∼”
인터뷰> 한선미 / 경기도 남양주시
"그 시대의 생활상이나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담고 있기 때문에 근현대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귀중한 자료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시대마다 개성이 묻어나는 패션 광고도 볼 수 있습니다.
광복 이후 점차 서구화되는 우리 옷차림의 변천사를 살펴볼 수 있는데요.
경제 성장과 함께 패션에 대한 높은 관심이 광고에도 반영된 모습입니다.
인터뷰> 김가연 / 시울시 동대문구
“시대별로 옛날 광고나 잡지 같은 문화를 외국인 친구들에게 영상으로 쉽게 설명해줄 수 있어서 좋은 전시였던 것 같습니다.”
또 다른 전시로 가전제품 광고를 볼 수 있는데요.
다양한 가전제품의 소비로 변화한 생활 습관과 높아진 삶의 질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정용훈 / 경기도 안성시
"1980년대∼2000년대까지 가정의 모습이 어떻게 변했는지, 또한 가전제품에 따라서 그 모습이 바뀌는 것을 한 번에 볼 수 있어서 그게 재미있었습니다."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계속되는데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취재: 정수연 국민기자 / 촬영: 최미숙 국민기자)
정수연 국민기자
"대형 화면과 음향으로 다양하게 돌아볼 수 있는 지난 세월 속 광고들,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감각적으로 살펴보면서 시대별 소비문화를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정수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