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2천 년 전으로 시간여행, 백제 문화 만나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2천 년 전으로 시간여행, 백제 문화 만나다

등록일 : 2022.10.19

김채원 앵커>
2천 년 전 한강을 끼고 찬란한 문화를 일군 한성백제를 알리는 문화제가 백제의 역사가 시작된 서울 송파구에서 열렸습니다.
송파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조명하는 한성백제문화제 현장에 이난희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이난희 국민기자>
제22회 한성백제문화제
(올림픽공원 / 서울시 송파구)
고구려 시조 ‘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위례성 한성 백제.
우수한 백제 문화의 혼과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체험 마을에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백제시대 의상을 입어 보고 특별한 추억을 사진에 남깁니다.

인터뷰> 백지원·황재익 / 경기도 용인시
“(백제 의상을) 입어보니까 편하고 좋아서 재미있는 것 같아요. 너무 예쁘지 않나요?”

무거워 보이는 떡메를 야무지게 잡고 힘차게 내리치자 쫄깃하고 고소한 인절미가 탄생합니다.

현장음>
“5가지 곡물을 이용해서 다식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코너입니다.”

곡물가루에 꿀을 반죽해 만드는 한국 전통과자.
예쁜 꽃무늬 다식판에 반죽을 넣고 손가락으로 꾹꾹 눌러 다식을 만들어봅니다.

이난희 국민기자
"2천 년 전 한성 백제 문화와 역사가 시간과 공간을 넘어와 시민들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40m 길이의 짚라인과 대형 지푸라기 미끄럼틀이 인기인데요.
아이들은 볏짚 미끄럼틀을 타면서 역사 속으로 시간 여행을 합니다.

인터뷰> 어린이 관광객
“지푸라기 미끄럼틀 진짜 재미있어요.”

인터뷰> 신소영 / 서울시 강동구
“지푸라기로 미끄럼틀을 만들어 놓으니까 아이들이 알 수도 있고 놀이도 하니까 좋았던 것 같아요.”

백제 왕관도 만들어 봅니다.
정성스럽게 나만의 왕관을 만들어 보는 어린이의 손은 꼼꼼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김윤진 / 서울 세륜중 1학년
“(백제는) 이런 형태의 왕관을 썼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스티커를 붙여서 만드니까 더욱 예뻤어요.”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12마당 송파산대놀이에 등장하는 가면들입니다.
마음에 드는 가면을 골라 꾸미고 싶은 대로 색을 칠해봅니다.

인터뷰> 김명하 / 송파산대놀이 전통교육사
“송파산대놀이 탈을 볼 수 있어서 좋고 자기 마음대로 색칠할 수 있으니까 자신의 창작력을 높이는 것도 있고 (체험을 통해) 아이들이 탈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훨훨 나는 연을 상상하며 색을 칠하는 어린이들의 마음은 벌써 가을 하늘에 가 있습니다.

인터뷰> 한사훈 / 서울시 강동구
“3년 만에 한성백제문화제를 다시 개최한 것을 보니까 볼거리나 먹거리가 많아진 것 같고 전체적으로 더 활발해진 느낌이라서 기분이 많이 좋습니다.”

25개 동 주민들이 손맛을 살려 차린 먹거리 장터는 문화제를 맛나고 풍성하게 해줍니다.
도도히 흘러온 문화의 힘’이라는 주제로 열린 제22회 한성백제문화제는 한성백제부터 88서울올림픽, 현재까지 역사적 순간을 재현한 다양한 전통문화예술 공연 행사와 체험으로 꾸며졌습니다.

인터뷰> 임윤주 / 송파구 문화체육과 문화진흥팀장
“K-푸드·컬쳐·게임처럼 한류의 모든 것을 담아보려고 노력했습니다. 백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오징어 게임존·짚라인·짚 놀이터 같은 모든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로 구성했고요.”

(취재: 이난희 국민기자 / 촬영: 이정임 국민기자)

2000년 전 찬란한 문화를 일궈낸 백제와 송파를 잇는 한성백제문화제는 서울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축제이자 글로벌 축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이난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