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한일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
본문

KTV 국민방송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
정부는 프레스센터에서 사회문화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장애인 복지 향상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장애인의 소득보장과 사회참여를 위해서 무엇보다 가장 필요한 게 바로 일자리 일것입니다.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도 논의가 됐습니다.

정부는 2010년까지 장애인 일자리 10만개 창출을 목표로 하는 Able 2010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특히 장애 유형과 등급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를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6천억원에서 7천억원에 달하는 예산 확보에 나설 예정입니다.

또, 중증장애로 일을 할 수 없는 장애인에게 보다 현실적인 소득 보장을 제공하기위해‘선택형 복지제도’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차상위계층의 중증지체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유료 요양시설 사용료의 일부를 지원하거나, 월20만원의 바우처를 지급해 스스로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선택권을 줄 방침입니다.

장애인들의 경우 의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장애인들의 의료보장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나왔습니다.

정부는 의료서비스 접근이 어려운 거동이 불편한 저소득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주치의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년에 세부 도입방안을 마련하고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장애인이 보장구를 구입할 경우 현재는 전액을 지불한 뒤 나중에 건강보험공단에서 80%를 돌려받게 돼 있지만 앞으로는 20%만 지불하면 구입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여성 장애인이 임신과 출산을 할 경우 의료기관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부는 장애 여성이 임신이나 출산과 관련해 산부인과 진료를 받을 경우 건강보험 수가를 가산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또, 여성 장애인 전문 병원을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올해부터 시범 실시중인 여성장애인 교육사업을 점차 확대하고, 여성 장애인의 고용확대를 위해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