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11만 명 확진···취약시설 집단감염 증가
김경호 앵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1만 명을 넘었습니다.
요양병원 등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집단 감염 사례가 늘고 있는데요.
방역당국은 고위험군의 중증화 위험을 막기 위해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하루 기준 신규 환자는 모두 11만 1천789명입니다.
105일 만에 가...
-
무증상 밀접접촉자 오늘부터 전문가 신속검사 무료
송나영 앵커>
오늘부터는 확진자와 접촉했어도 증상이 없는 사람은 병원이나 의원에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환자는 검사비를 내지 않아도 되고 의원급 기준 진료비 5천 원만 내면 됩니다.
오늘(2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1만 1천789명을 기록했습니다.
입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282명, 사망은 16명입...
-
코로나19 정례브리핑 (22. 08. 02. 11시)
코로나19 정례브리핑 (22. 08. 02. 11시)
임숙영 /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
-
태풍 세력 약화···내일까지 최대 100mm 비
김용민 앵커>
한반도와 제주도 주변에서 이동하던 태풍들이 오늘 오전 모두 열대저압부로 약해졌습니다.
기상청은 오늘 새벽 3시, 5호 태풍 송다가 열대저압부로 약해진데 이어, 오전 9시 6호 태풍 트라세도 제주도로 북상하는 도중 세력을 잃어 열대 저압부로 약화됐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중부지방과 남해안, 지리산과 제주에는 내일까지 100mm의 비가 내릴 ...
-
태풍 세력 약화···내일까지 최대 100mm 비
김경호 앵커>
한반도와 제주도 주변에서 이동하던 태풍 모두가 오늘 오전 열대저압부로 약해졌습니다.
기상청은 오늘 새벽 3시, 5호 태풍 송다가 열대저압부로 약해진데 이어, 오전 9시 6호 태풍 트라세도 제주도로 북상하는 도중 세력을 잃고 약화됐다고 밝혔습니다.
또 중부지방과 남해안, 지리산과 제주에는 내일까지 100mm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
태풍 '송다' 소멸···남해안 중심 강한 비
김경호 앵커>
5호 태풍 '송다'의 영향으로 전국 곳곳에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송다'는 오늘 안으로 소멸할 전망인데요.
다만, 남해안과 지리산을 중심으로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리겠습니다.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5호 태풍 '송다'는 중국 칭다오 남동쪽 해상에서 북상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태풍의 세력은 크지 않습니다.
송다는 오...
-
"유행 정점 20만 명···거리두기 없이 대응"
김경호 앵커>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의 정점이 예상보다 적은 범위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고 거리 두기 없이 준비된 의료역량 안에서 대응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윤세라 앵커>
개량 백신을 활용한 하반기 접종전략은 다음 달 말,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전문가와 질병관리청이 당초 예상한 재유행의 정점은 다음...
-
올해 상반기 승용차 수출 2.5%↑···친환경차 '역대 최대'
김경호 앵커>
친환경차 수출이 크게 늘면서 올해 상반기 전체 승용차 수출이 지난해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승용차 수출액은 222억8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증가했습니다.
특히, 친환경차 수출액은 42.3% 증가한 72억8천만 달러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
"유행 정점 20만 명···거리두기 없이 대응"
임보라 앵커>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의 정점이 예상보다 적은 범위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고 거리두기 없이 준비된 의료역량 안에서 대응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개량 백신을 활용한 하반기 접종 전략은 다음 달 말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전문가와 질병관리청이 당초 예상한 재유행의 정점은 다음 달 중순, 하루 최대...
-
8만여 명 확진···"8월말 개량백신 접종전략 발표"
김경호 앵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늘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8만 5천320명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방역당국은 재유행의 정점이 당초 예상보다 적은 20만 명 안팎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고, 이는 준비된 의료 역량 내에서 대응 가능한 수준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개량 백신을 활용한 하반기 접종전략은 다음 달 말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