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민간단체 대북접촉 승인…지난해 1월 이후 처음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인도적 지원을 위한 민간단체의 대북접촉이 승인됐습니다.
정부는 민간단체의 대북 교류를 유연하게 검토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는데요.
대북접촉과 방북 신청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통일부가 오늘(26일) 한 대북 인도지원단체의 북한주민 접촉을 승인했습니다.
녹취> 이유진 / 통일부 부대변인 ...
-
북한의 모내기 풍경은? [북한 지금은]
김초희MC>
이번 순서는 북한의 최근 이슈와 주민들의 생활상을 알아보는 <북한 지금은> 시간입니다.
이하경MC>
다양한 북한 소식 전해주실 분입니다.
'이순실' 탈북인과 함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초희 MC>
네, 북한은 올해 어느 때보다 모내기에 힘을 쏟고 있다고 하는데요.
북한에서 올 해의 대:풍작을 위한 모내기 모습은 어떠한지,...
-
"민간교류 등 남북관계 주요 사안 유연 검토"
통일부는 "민간교류 등 남북관계 주요 사안들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연하게 검토해나갈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남북관계의 단절은 한반도의 안정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한다"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인도적 지원을 하려는 민간단체들의 대북접...
-
함께 꿈꾸는 한반도 미래…22일부터 통일교육주간
제5회 통일교육주간이 오는 22일부터 시작됩니다.
'함께 꿈꾸는 내일'을 주제로 학교에선 통일 수업이 이뤄지고,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도 열립니다.
정지예 기자입니다.
앞으로 다가올 통일시대의 주역인 청소년들.
청소년들이 통일에 대한 희망을 나눌 수 있도록 지난 2013년부터 매년 5월 넷째 주는 통일교육주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5회째를...
-
함께 꿈꾸는 한반도 미래…22일부터 통일교육주간
제5회 통일교육주간이 오는 22일부터 시작됩니다.
'함께 꿈꾸는 내일' 이라는 주제로 학교에선 통일 수업이 이뤄지고,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도 열리는데요.
정지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앞으로 다가올 통일시대의 주역인 청소년들.
청소년들이 통일에 대한 희망을 나눌 수 있도록 지난 2013년부터 매년 5월 넷째 주는 통일교육주간으로 운영되고 있습...
-
북한의 금연정책은? [북한 지금은]
김초희MC>
이번 순서는 북한의 최근 이슈와 주민들의 생활상을 알아보는 <북한 지금은> 시간입니다.
이하경MC>
다양한 북한 소식 전해주실 분입니다.
'이순실' 탈북인과 함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초희MC>
네, 북한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활발하다고 하니 더욱 궁금한데요.
북한 여성들의 사회참여 모습은 어떠한지,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
-
안보리 긴급회의 종료…성과와 전망 [똑똑한 정책뉴스]
유엔안보리 긴급회의에서 북한을 압박하는 실질적인 조치가 도출될지 관심이 쏠렸는데요.
어떤 내용이 오갔는지,알아보겠습니다.
동국대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 연결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질문 1>
유엔안보리 긴급회의가 끝났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나오지 않았는데 어느 정도의 논의가 있었을까요?
질문 2>
오늘 새 대북제재안이 채택되지는...
-
"北, 변화된 환경 속에서 오판 말아야"
정부는 중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에 대해 변화된 환경 속에서 잘못된 판단을 하면 안된다고 경고했습니다.
북한은 관영매체를 통해- 중장거리 탄도로켓, 화성-12형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변화된 환경을 오판 해서는 안된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덕행 / 통일부 대변인
...
-
"北, 변화된 환경 속에서 오판 말아야"
정부는 중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에 대해 변화된 환경 속에서 잘못된 판단을 하면 안된다고 경고했습니다.
북한은 관영매체를 통해 중장거리 탄도로켓 '화성-12'형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변화된 환경을 오판해서는 안된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덕행 / 통일부 대변인
...
-
북한의 인기 화장품은? [북한 지금은]
김초희MC>
네, 지금까지 북한의 화장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북한에서 보기 힘든 70층 높이의 고층 아파트가 들어선 모습이 눈길을 끄는 북한의 신도시, ‘려명거리’의 모습을 소개해드릴텐데요.
지금 화면으로 만나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