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경제
-
우후죽순 '특구' 손본다···농촌 규제혁신지구 10곳 지정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계속해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소식, 뉴스룸에 나와있는 취재기자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최다희 기자, 정부가 '특구' 제도를 전반적으로 손보겠다고 밝혔다고요?최다희 기자>네, 맞습니다.'특구'는 특정지역에만 조세 감면이나 재정 지원,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등 경제발전을 위해 예외적 권한과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현재 국...
-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올해도 증가
국정을 더 촘촘히 살펴봅니다.보도자료 브리핑입니다.임보라 기자>알리·테무 등 해외직구 플랫폼이 다양해지면서, 해외에서 안전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 유통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지난해 소비자원은 리콜 제품 유통 현황을 점검하고 1,336건에 대해 유통·재유통을 차단했는데요.먼저, 해외에서 리콜됐지만 '국내 유통'이 확인돼 시정 조치한 사례는 577건이...
-
한은, 기준금리 2.75%로 인하···성장률 1.5%로 하향 조정
임보라 앵커>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2.75%로 낮췄습니다.올해 경제성장률은 1.5%로 대폭 하향 조정했는데요.금리를 인하해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한다는 판단입니다.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75%로 낮췄습니다.0.25%p 내린 것으로 올해 첫 기준금리 인하입니다.기준금리...
-
"그린벨트 해제 총면적 확대···1조 원 규모 과학기술펀드 조성"
임보라 앵커>조금 전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국가 전략사업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습니다.불확실한 대내외 여건에 대응해 우리 기업이 투자로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습니다.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장소: 2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정...
-
국가·지역전략사업 15곳 선정···농지 규제 대폭 완화
임보라 앵커>정부가 비수도권의 그린벨트를 폭넓게 해제해 국가·지역 전략사업을 15개 지역에서 추진합니다.농업의 성장과 지역 기업에 대한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도 신속히 해소한다는 방침인데요.보도에 이리나 기자 입니다.이리나 기자>정부가 비수도권 지역의 그린벨트를 대폭 풀기로 했습니다.여의도 면적의 15배 규모에 달하는데 지역의 다양한 전략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
KDI "기초연금 수급자 선정, 중위소득기준으로"
임보라 앵커>기초연금 수급자 선정 기준을 바꾸자는 제안을 담은 한국개발연구원, KDI의 보고서가 나왔습니다.수급자를 선정할 때, '중위소득기준'을 활용하자는 게 핵심입니다.신경은 기자입니다.신경은 기자>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 도입된 '기초연금제도' 소득인정액 하위 70% 이하 노인에게 '기초연금'을 지급합니다.한국개발연구원, KDI는 기...
-
한-베트남 산업장관 "원전 협력 강화"
임보라 앵커>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오늘 오전 서울 롯데호텔에서 응우옌 홍 디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양자회담을 열고 에너지·통상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산업부는 응유예 장관의 이번 방한은 최근 베트남이 원전 사업 재개를 결정함에 따라 한국과의 원전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또 양 장관은 한-베트남 FTA 개정 논의를 신속히 ...
-
오늘의 증시 (25. 02. 25. 16시)
오늘의 증시
-
한은, 기준금리 인하···연 3.00% → 2.75% [오늘의 이슈]
임보라 앵커>오늘 오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인하했습니다.국내외 경제 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요.박연미 경제평론가와 함께 살펴봅니다.(출연: 박연미 / 경제평론가)Q. 한은 기준금리 인하 배경은?Q. 대출금리 인하 가능성은?Q. 가계대출 쏠림 관리 필요성은?
-
"아기 낳으면 다 드려요" '출산율 반등' 지금이 기회! [경제&이슈]
추락하던 출산율이 지난해부터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둘째아이 출산 비중이 늘면서 출산율 반등기가 오는 게 아니냐는 기대도 나오는 상황. 지속적인 저출생 정책-고민이 출산율 반등의 불씨를 살리고 있는지 점검하고 출산율 반등 기조를 이어갈 해법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