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보건복지부 브리핑 - 긴급복지지원제도

정책브리핑 수시방송

보건복지부 브리핑 - 긴급복지지원제도

등록일 : 2006.03.14

저소득층이 가장의 사망, 질병 등으로 갑자기 생계를 유지하기 곤란해졌을 때는 1개월간 생계비, 의료·주거서비스 등을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의 긴급복지지원법 시행령이 14일 국무회의를 통과, 오는 24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의 소득, 재산, 부양의무자 등을 먼저 조사한 후 일정기준을 충족할 경우에 생계비와 의료비를 지원, 위기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긴급지원제도가 시행되면 갑작스럽게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에 처한 저소득층에게 생계비, 의료·주거서비스 등을 제때에 지원함으로써 이들이 위기상황을 벗어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계비 지원의 경우 최저생계비의 6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받을 수 있다. 1인 가구는 25만 원, 2인 가구는 42만 원, 3인 가구는 56만 원, 그리고 4인 가구는 70만 원이 지원대상자 계좌로 입금된다.

중병이나 부상에도 불구하고 의료비를 감당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에 대해 최고 300만 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임시 주거지가 필요한 경우나 사회복지시설 입소 또는 이용이 필요한 때에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소요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 동절기에는 6만 원의 연료비를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고, 긴급지원대상자가 사망하거나 출산했을 때에는 50만 원의 장제비 또는 해산비를 지원받게 된다.

이같은 지원은 1개월 또는 1회가 원칙이지만 위기상황이 계속될 경우 생계지원 등은 최장 4개월까지, 의료지원은 2회까지 받을 수 있다.


◆지원 받으려면

본인이 긴급지원이 필요하거나, 어려움에 처한 이웃이 있을 때에는 전국 어디서나 지역번호 없이 129번을 누르면 보건복지콜센터 상담원이 365일 24시간 긴급지원 상담을 해주고 지원요청 접수를 받는다. 시·군·구의 사회복지과에 직접 지원요청을 할 수도 있다.

콜센터 상담원은 지원요청을 접수하면 긴급지원 대상자가 거주하는 시·군·구에 연락해 현장조사 등을 실시하도록 하며, 시·군·구 담당공무원은 생계·의료·주거서비스 등을 우선 지원하게 된다.

이 후 지원대상자의 소득과 재산에 비춰 긴급지원이 적정했는지 심사한다. 이 때 소득은 가구규모별 최저생계비의 130% 이하(4인가구 기준 월 152만 원), 재산은 대도시의 경우 9500만 원 이하, 그리고 금융재산은 120만 원 이하인 가구는 적정한 지원 대상자로 인정된다.

이 기준을 다소 초과하더라도 긴급한 지원의 필요성이 인정되면 지원이 적정했던 것으로 인정되며 단,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지원을 받은 때에는 지원받은 비용을 반환해야 한다.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은 `긴급지원제도의 성패는 위기상황에 처한 사람을 얼마나 빨리 발견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며 `도움이 필요한 이웃이 있다면 시·군·구나 129를 통해 신속히 알리는 등 국민 모두가 긴급지원제도에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