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노동부 브리핑 - 노사관계선진화 방안 합의결과 발표

정책브리핑 수시방송

노동부 브리핑 - 노사관계선진화 방안 합의결과 발표

등록일 : 2006.09.11

2008년부터 직권중재제도가 폐지되고 필수사업장에 대체근로가 도입되는 등 노사관계가 국제규범에 맞게 재편된다. 또 부당해고시 벌칙을 삭제하는 대신 재고용을 의무화하고, 근로계약과 해고통지를 서면화하는 등 취약근로자 보호와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노사정대표는 11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노사관계 법ㆍ제도 선진화 방안`에 극적으로 합의했다.

그동안 첨예한 의견대립을 보였던 복수노조 도입 및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문제는 3년간 도입을 유예하는 대신 노사정이 집중 논의를 통해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합의안에 따르면 2008년부터 직권중재제도가 폐지되며, 필수공익사업에 대해서는 필수유지업무제를 도입하고 대체근로를 허용한다. 필수공익사업장에는 현재 철도, 전기, 병원, 수도, 석유, 한국은행 등 이외에도 혈액공급, 항공, 폐ㆍ하수처리, 증기ㆍ온수공급업 등이 추가된다.

또 부당해고와 관련, 노동위원회의 부당해고 판정시 근로자가 원할 경우 금전보상 명령이 가능하도록 금전보상제가 도입된다.

노사협의회는 근로자 위원이 사용자에게 관련자료를 사전에 요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역할을 담보할 수 있도록 했다.

경영상 해고시 현행 60일인 사전통보기간은 기업규모와 해고규모에 따라 30∼60일까지 차등 설정하고 해고사유를 서면에 명시하도록 의무화했다.

경영상 해고 이후 해고 근로자의 재고용을 노력한다는 추상적인 문구는 `3년이내 동일업무 재고용 의무`로 구체화했다.

노사정은 이번 합의에서 현재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 관련법의 조속한 통과를 위해 노력하고, 노동위원회법 및 노사정위원회법도 국회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이날 노사정 대표들은 `이번 합의가 노사간의 대화와 타협을 통한 자율적 합의정신을 존중하고 보편적 국제노동기준과 우리 노사관계 현실을 함께 고려하여 마련된 것`이라며 `법 시행에 따른 사회적 혼란을 막고 어려운 경제적 여건 속에서 노사관계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는 고심 끝에 내린 결단`이라고 밝혔다.

또 노사정 대표자들은 `노사관계 선진화를 위한 합의정신을 바탕으로 경영계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근로자의 평생능력개발에 적극 나서며, 노동조합은 협력적 노사문화를 확산시킴으로써 이를 뒷받침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노사정 대표자회의에는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 이수영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이상수 노동부 장관, 조준호 노사정위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