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통계청 브리핑 - 4월 서비스업 활동 동향

정책브리핑 수시방송

통계청 브리핑 - 4월 서비스업 활동 동향

등록일 : 2006.06.01

<4월 서비스업활동동향>
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6년 4월 서비스업활동동향’에 따르면 4월 서비스업생산은 금융 및 보험업, 의료업, 부동산 및 임대업 등이 큰 폭으로 증가한데 힘입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5.3%)보다도 증가세가 확대되었으며 전월비로도 0.7% 증가, 2개월째 증가세를 지속되었다.

업종별로 보면, 증시호조, 부동산 개발․공급 및 감정 등의 증가로 금융 및 보험업(11.4%), 부동산 및 임대업(8.9%)이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의료업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10.8% 늘어났다.

운수업은 화물운송과 여행관련 운수산업의 호조로 6.9% 늘었으며, 사업서비스업도 5.31지방선거에 따른 여론조사 증가로 시장조사 및 경영상담업(35.7%) 등이 급증하면서 6.0% 증가하였다.

한편, 숙박 및 음식점은 3월 2.0%에서 4월 3.4%로 증가세를 보였으며, 숙박업(4.4%)이 외국인 입국자수 증가와 쌍춘년에 따른 결혼 증가 등으로 3월 감소(-1.4%)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 음식점업(3.3%)도 3월(2.5%)보다 증가세가 확대되었다.

도소매업은 3.4% 증가하여 3월(4.1%)에 비해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었으나, 대표적 소비업종인 소매업의 경우는 2.8% 증가하여 3월의 1.8%보다 호전되었다. 그러나 자동차판매(2.8%)와 도매업(4.0%)은 전월에 비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통신업(4.1%)과 교육서비스업(3.2%)은 전월에 비해 증가세가 확대되었는데, 특히 2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던 학원산업(7.2%)은 3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오락․문화 및 운동관련 서비스업(1.9%), 기타공공 및 개인서비스업(2.5%)은 3월보다 둔화되었다.



<5월 소비자물가동향>

5월 소비자물가는 전달에 비해서는 0.2% 상승하는데 머물렀으며,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4% 증가하는데 그쳐 5월 물가로는 200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전년 동기대비로는 2.3% 올라 예년과 비교해 강한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석유제품과 의복류, 화장품 등 공업제품이 0.8% 올랐으나, 채소류, 축산물의 출회 증가로 농축수산물이 1.5% 내려 전체적으로 전월 대비 0.2% 상승에 그쳤다.

주요 등락 품목을 보면 당근(33.4%), 여자바지(12.8%), 금반지(12.4%), 오렌지(11.0%), 영양크림(10.3%), 양배추(10.0%). 가전제품수리비(8.8%), 돼지고기(7.6%) 등은 상승하였으나, 열무(-29.1%), 배추(-25,5%), 파(-19.8%), 토마토(-17.9%), 무(-16.3%), 참외(-13.4%), 오이(-12.0%) , 모니터(-11.6%), LPG(자동차용:-8.7%, 취사용:-6.1%) 등은 하락하였다.

생활물가는 전월에 비해 0.1%하락 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 2.9% 상승하였다. 생선류, 채소류, 과실류 등을 대상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전월에 비해 4.3%, 전년동월대비 4.1% 각각 하락하였다.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에 비해 0.3%, 전년동월대비 2,0% 각각 상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