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대전화 스팸 큰 폭으로 줄어
올해 들어 증가세를 보이던 휴대전화 스팸이 최근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보통신부는 8일, 지난 9월말 1인당 하루평균 휴대전화 스팸 수신량을 간이 측정한 결과 0.67통으로, 지난 5월 정기조사때의 0.99통에 비해 줄어들었다고 밝혔습니다.
간이조사 결과에 따르면 휴대전화 스팸 중 대출 관련 내용이 여전히 가장 많았으며, 대다수가 휴대전...
방송일자 : 2006.12.08
-
부처산하기관·출연연구기관 만족
정부 산하기관, 출연연구기관의 고객만족도 조사가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로 실시됐습니다.
두 기관 모두 평균 점수 이상을 받아 고객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미정 기자>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한국지역난방공사. 전국에 제공되는 지역난방 중 60%에 해당하는 83만호세대에 지역난방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커다란 물탱크에 보관된 물은 섭시 110 도...
방송일자 : 2006.12.08
-
우체국 쇼핑 누계매출 1조원 눈 앞
우체국 쇼핑이 출범 2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그동안 총 매출액만도 1조원에 달합니다.
이 같은 성과가 있기까지 우정사업본부의 피나는 노력을 살펴봅니다.
강석민 기자>
우체국 쇼핑 20주년 기념식. 황중영 우정사업 본부장을 비롯한 우체국 쇼핑 관계자 등 30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그동안 우체국 쇼핑의 매출은 9600여억원. 내년 1월이면 1조원에 달...
방송일자 : 2006.12.08
-
순간포착
방송일자 : 2006.12.08
-
생방송 국정현장 (234회)
노무현 대통령 뉴질랜드 방문 / 美, 한국 요구사항 수용 거부 / 국내경기 점차 회복, 콜금리 동결 / 권오규 부총리, `가계부채 급증` 경고 / 기업 4곳 수도권내 공장 증설 허용 / FT “2006년 한국경제 빛나는 성과” / 권오규 부총리 `종부세 위헌소지 없다` / 종합부동산세 Q&A / 수혈용 혈액 부족 심각 /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 타결 / 주택담보대출, 개인 현금흐름 반영 / 보육문제 해결에 예산 편성
방송일자 : 2006.12.07
-
노무현 대통령 뉴질랜드 방문
노무현 대통령이 2박3일간의 호주 국빈방문 일정을 모두 마치고 세번째 방문국인 뉴질랜드로 향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7일 오전 호주 캔버라에서 시드니로 이동해 양국 경제인 포럼에 참석한데 이어 교민들과 간담회를 갖고 격려한 뒤 뉴질랜드의 수도 웰링턴으로 출발했습니다.
한국 국가원수로서는 7년 만에 뉴질랜드를 국빈방문하는 노무현 대통령은 8일 헬렌 클...
방송일자 : 2006.12.07
-
美, 한국 요구사항 수용 거부
한미 FTA 5차 협상이 사흘째로 들어서면서 그동안의 우려가 현실이 됐습니다.
무역구제분과에서 우리측 요구사안을 미국측이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협상이 중단됐습니다.
박영일 기자>
협상 3일째인 6일 오전. 우리측 김종훈 수석대표가 어두운 표정으로 브리핑룸으로 들어옵니다.
그리고는 무역구제 분과 협상이 중단됐음을 발표합니다.
지난 5일 우리측이 제...
방송일자 : 2006.12.07
-
국내경기 점차 회복, 콜금리 동결
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마지막 콜금리 인상 여부를 논의했습니다.
경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속에 콜금리를 현수준으로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문현구 기자>
한국은행은 7일 오전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정책금리인 콜금리를 현 수준인 4.5%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로써 콜금리는 지난 8월 인상된 이후 넉 달 연속 현수준으로 유지하게 ...
방송일자 : 2006.12.07
-
권오규 부총리, `가계부채 급증` 경고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가계부채의 증가와 저축은행의 부동산관련 대출 증가 등을 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꼽으면서 이로 인한 위기 발생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권오규 부총리는 7일 금융연구원이 주최한 조찬강연에서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부채의 증가가 향후 가계와 금융권의 부실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중소기업 대출의 급증과 저축은...
방송일자 : 2006.12.07
-
기업 4곳 수도권내 공장 증설 허용
정부가 LG전자와 팬택 등 기업 4곳의 수도권내 공장 증설을 허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유진향 기자>
Q> 그동안 수도권내 공장 증설은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먼저 이번에 허용하게 된 배경부터 전해주시죠.
A> 수도권내 공장 증설이 허용된 곳은 LG전자와 팬택, 한미약품, 일동제약 등 모두 4곳입니다.
산업자원부는 그동안 관계부처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수...
방송일자 : 2006.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