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공사와 이견을 좁히지 못한 철도노조가 결국 16일, 파업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비상교통대책 등을 통해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불법 파업에 대해선 공권력을 조기투입해 엄정대처할 방침입니다.
이정연 기자>
16일 예고된 철도파업을 하루 앞두고 철도노조는 공사와 막판 협상을 벌였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철도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가 제시한 직권중재안도 받아들이지 않아 16일 새벽 4시부터 전면파업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수도권 지하철 1,3,4호선 운행에 차질을 빚게 돼, 당장 16일부터 출근길 교통불편이 불가피해졌습니다.
KTX와 무궁화호도 운행률이 36%, 19%로 크게 줄어 중장거리 여객과 화물 운송에도 막대한 차질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비상교통대책을 마련하고 비노조원과 군 병력 등 총 904명의 기관사를 투입해 평상시 33% 수준의 열차 운행을 유지할 계획입니다.
열차 감축운행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여객수송을 위해선 버스나 항공 등 다른 교통수단의 수송력을 늘릴 방침입니다.
또 공공기관이 시행하고 있는 승용차 10부제와 5부제, 요일제 등은 파업이 끝나는 날까지 일시 해제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시민들에게 버스를 이용하고, 승용차 함께 타기 등에 적극 나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정부는 국민을 볼모로 한 부당한 집단행동이 반복되는 관행을 바로잡기 위해 불법파업에 대해선 단호히 대응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또 법과 원칙에 따라 불법파업 행위자는 사법처리하고 공권력을 조기투입하는 등 엄정하게 대처할 방침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