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북한에 조문단 파견 않기로
중국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대한 조문단을 북한에 파견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외교부 류웨이민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외국의 조문단을 받지 않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밝힘"에 따라 조문단 파견을 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1.12.20
-
북한 당국 "외국 조문단 받지 않겠다"
국내에선 북한에 조문단을 보내는 문제를 놓고 말이 많은데요.
정작 북한은 외국조문단을 받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어떤 속사정이 있는 걸까요?
정명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김정일 위원장의 장의에 외국 조문단을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이는 내부상황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북한주민을 주도로 한 추도 분위기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방송일자 : 2011.12.20
-
'애기봉 등탑 점등' 철회… "인포콘 4단계로 격상"
정부는 경계태세는 강화하되 전방 부대 3곳에 세울 예정이던 성탄트리 점등을 취소하기로 했습니다.
군은 그러나 정보작전 방호태세인 인포콘을 5단계에서 4단계로 격상해, 사이버 상에서의 안보태세를 강화했습니다.
보도에 강필성 기자입니다.
오는 23일 예정된 애기봉 등 서부전선 최전방 지역 3곳의 성탄트리 등탑 점등식이 취소됐습니다.
군 당국은 점등식 주...
방송일자 : 2011.12.20
-
'김정일 사망' 정부 담화문 발표
앞서 전해드린대로 정부는 어제 외교안보장관회의를 갖고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대한 첫 담화문을 발표했습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의 발표,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1.12.20
-
김황식 총리 "정부, 의연하게 적극 대처"
김정일 사망 정국에서 정부는 상황의 안정적 관리에 힘쓰며 차분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의연하면서도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했습니다.
계속해서 이해림 기자입니다.
긴장감 속에 24시간 비상태세에 돌입한 정부.
현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런만큼 정부는 차분한 대응기조를 유...
방송일자 : 2011.12.20
-
개성공단 내일부터 조문 실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에도 불구하고 개성공단은 평소와 다름없이 정상적으로 운영됐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김현아 기자!
네, 통일부입니다.
개성공단에 근무하는 북측 근로자들이 내일부터 조문을 실시한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30분 간격으로 5회에 걸쳐 개성공단 내 개별기업별...
방송일자 : 2011.12.20
-
코스피 하루 만에 반등…환율도 하락
김정일 사망 소식으로 크게 출렁였던 국내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루 만에 코스피는 반등했고 환율도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여정숙 기자의 보도입니다.
대북 악재로 크게 출렁였던 국내 금융시장이 안정세로 돌아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코스피는 16.13포인트 오른 1793.06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장 초반 14.69포인트 오른 ...
방송일자 : 2011.12.20
-
"김정일 사망,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정부는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이 우리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습니다.
경제부처들은 24시간 비상 체제를 유지하면서, 시장 불안심리차단에 주력했습니다.
김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경제부처 당국자들은 경제금융상황을 점검하는 자리에서,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로선 제한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 이유...
방송일자 : 2011.12.20
-
"금융시장 기초체력·정책 대응여력 충분"
오늘 금융시장이 안정세를 되찾은 가운데, 금융당국은 김정일 사망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금융시장의 기초체력과 정책적 대응여력이 충분하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계속해서 강석민 기자입니다.
금융시장이 하루만에 안정세를 되찾은 가운데, 금융당국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대해, 시장에서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밝...
방송일자 : 2011.12.20
-
생필품 사재기 없어…시민의식 성숙
안보가 불안할 때마다 나타나는 현상, 바로 라면과 물 등 생필품 사재기인데요.
하지만 김정일 사망 소식이 들려온 뒤에도, 사재기 같은 동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송보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서울시내의 한 마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으로 한때 라면생산 업체들의 주가가 급등하는 등 사재기 열풍이 시작되나 싶었지만, 정작 시민들은 차...
방송일자 : 201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