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 "국론분열 되지 않도록 해야"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7대 종단 지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국론분열을 막기 위한 종교계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내일은 여야 대표들과 회동을 갖고 김 위원장 사망과 관련한 초당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박영일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7대 종단 지도자들과 청와대에서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 이후 국론분열을 예방하기 위한...
방송일자 : 2011.12.21
-
"국내외 금융시장·실물경제 안정 되찾아"
<!--{13245183776400}-->정부는 국내외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경제도 안정을 회복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당분간 긴장을 풀지 않고, 위기대응전략을 가다듬겠다는 계획입니다.
송보명 기자입니다.
기획재정부는 박재완 장관 주재로 경제상황을 점검하고, 브리핑을 통해 결과를 전했습니다.
박 장관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국내외 금융...
방송일자 : 2011.12.21
-
김정일 사망, 증시폭락 변수 10위에 그쳐
김정일 위원장 사망 소식으로 한때 요동쳤던 금융시장은 이제 정상화된 모습입니다.
한편 김 위원장의 사망 사건은 올해 우리 증시를 폭락시킨 변수 가운데, 10위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정숙 기자의 보도입니다.
우리 금융시장에 대북 악재로 인한 더 이상의 충격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코스피는 55.35포인트 급등하면서 1848.41로 장을 마쳤...
방송일자 : 2011.12.21
-
"외국인, 대외악재보다 주식 덜 팔아"
<!--{13245184537500}-->김정일 사망 소식이 우리 금융시장에 끼친 충격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였을까요.
사망 소식이 전해진 당일과 그 다음날 외국인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강석민 기자가 자세히 분석해봤습니다.
김정일 사망 소식이 전해진 19일과 다음날인 20일에 걸쳐, 우리 증시의 '큰 손'인 외국인들은 어느 정도의 주식을 팔았을까.
이...
방송일자 : 2011.12.21
-
김정은, '첫 명령' 하달…사실상 군권 장악
김정일 위원장 사망 발표 전에 김정은이 북한군에게 첫 명령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미 권력이 김정은에게 승계됐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로 해석됩니다.
이해림 기자입니다.
김정일 국방위원 사망 발표 전 김정은이 북한 인민군에게 첫 명령을 내렸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전군에 훈련을 중지하고 즉각 소속부대로 복귀하라"는 내용으로, '김정은 대장...
방송일자 : 2011.12.21
-
새로운 권력 '김정은'은 누구인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후계자로 지목된 아들 김정은에게 전 세계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어린시절의 모습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김정은은 어떤 사람일까요.
팽재용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올해 나이 29살로 알려진 김정일의 셋째 아들이자 막내아들인 김정은.
김정일의 세번째 부인 고영희의 아들로 알려져 있으며, 배다른 맏형 김정남과 형 김정철이 권...
방송일자 : 2011.12.21
-
김정일 시신 영구보존 가능성 크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신은 아버지 김일성처럼 미라 상태로 영구보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유영 기자입니다.
금수산기념궁전에 안치된 김정일 위원장.
평소 즐겨 입던 인민복을 입은 김 위원장의 시신은 아버지 김일성 주석처럼 방부처리돼 영구보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만약 그렇게 된다면 북한이 우상화를 통한 체제 결속과 김 위원장의 사망 과...
방송일자 : 2011.12.21
-
北-美, 김정일 사망 뒤 첫 '뉴욕채널' 가동
<!--{13245186431560}-->미국과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처음으로 뉴욕에서 실무접촉을 가졌습니다.
이번 뉴욕채널을 통해 북한의 식량지원을 위한 기술적 논의를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정은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으로 주춤했던 북미 접촉이 다시 재개됐습니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식량지...
방송일자 : 2011.12.21
-
올해 세계의 독재자 6명 권좌에서 물러나
올해는 전 세계 독재자들이 여럿 쓰러지거나 몰락한 해로 기록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올 한해 권좌에서 물러난 독재자들의 면면을 살펴봤습니다.
정명화 기자입니다.
23년간 철권을 휘둘렀으나 재스민 혁명으로 권좌에서 물러나 사우디로 야반도주한 벤 알리 튀니지 전 대통령.
30년간 이집트를 통치한 무바라크 역시 재스민 ...
방송일자 : 2011.12.21
-
대형 상장사 "北 변수, 주요 고려사항 안돼"
<!--{13245187344210}-->대형 상장사들은 내년도 경영에서 북한 변수는 주요 고려대상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20대 상장사들은 내년 경영에서 걱정되는 것은 북한 리스크보다는 유럽 재정위기라고 일제히 밝혔습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북한 변수는 내년 경영계획을 짤 때 우선적인 고려대상이 아니라고 밝혔으며, 현대차 관...
방송일자 : 201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