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가 우리 경제에 가져다줄 효과에 대한 10개 국책연구기관의 재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내 총생산은 5.66% 증가하고, 일자리도 35만개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이동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개발연구원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10개 국책연구기관이, 한미FTA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재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한미FTA로 인한 교역확대와 생산성 향상으로, 우리나라 실질GDP는 장기적으로 5.6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35만 개의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조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연 평균 대미 무역수지 흑자 예상액은, 기존 4조2천억달러에서 1조4천억달러로 줄었습니다.
하지만, 대세계 무역수지는 향후 15년간 연 평균 27억7천만달러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연구기관들은 농수산업 분야가 연 평균 8천445억원 가량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10년간 21조1천억원을 투입하는 한미FTA 보완대책이 마련돼 있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밖에도 서비스업의 경우 경쟁을 통한 효율성 증가로,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경쟁력이 취약한 분야에 대해서는 개방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방속도를 조절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TV 이동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