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2030년 한국, '4대 노인국' [클릭 경제브리핑]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입니다.

저출산과 급속한 노령화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국가의 경쟁력을 위태롭게 할 정도의 생산인구 감소 현상이, 벌써 눈앞으로 다가왔다는 국제기구의 분석이 나와 경고의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가 지금부터 20년 뒤인 2030년 세계 각국의 인구 전망을 발표했는데, 우리나라와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OECD에 따르면, G20 회원국 가운데 총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볼 때, 우리나라는 2030년에 일본과 독일, 이탈리아의 뒤를 이어 네번째로 높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우리나라는 1970년 노인 인구 비율이 불과 3.1%에 머물렀던 것에서, 2030년까지 무려 21.2%포인트가 늘어나, 일본에 이어 가장 급격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나라별 순위 면에서도 1970년 G20 최하위에서 1980년 14위로 올라선 뒤 2000년에 10위를 기록했고, 2025년에 8위를 거쳐 2030년 4위까지, 그야말로 급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G20 가운데 2030년에 노인인구 비율이 한자릿수로 예상되는 나라는 인도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단 두나라뿐이 었습니다.

그 만큼 세계 각국의 전반적인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는 얘긴데,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는 손에 꼽을 정도로 빠른 고령화가 점쳐지고 있는 겁니다.

2030년에 우리보다 고령화 비율이 더 높은 나라들도 있지 않느냐고 위안을 삼기도 힘든 것이, 일본과 독일, 이탈리아는 우리나라와 사정이 많이 다른 것이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세 나라는 100여년 이상 장기간 산업화 과정을 통해 노인 복지 시스템이 잘 갖춰진 반면에, 우리나라는 50여년만에 급속한 성장을 이룬 만큼 초고령 사회에 대한 대비가 충분치 않다는 판단입니다.

출산 장려정책으로 생산활동 인구를 늘리는 것과, 노인 일자리 창출 등 고령자들의 자립 기반을 만들어주는 것.

정부의 대책은 이렇게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진국들의 성공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출산을 늘리고 고령사회를 연착륙시키는 일은,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 모두가 힘을 모아야만 가능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