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법복제 '제로'에 도전한다
최근 스마트 폰이 큰 인기를 끌면서 우리나라 불법 복제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정부도 불법 복제를 뿌리 뽑기 위해 카피제로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해 나갈 방침입니다.
점심시간 유동 인구가 많은 서울 명동 거리.
한 두 시간 판을 깔고 불법 DVD를 판매하는 노점상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불법 DVD 판매자
"모르고 판매하는 사람...
방송일자 : 2010.03.12
-
세계시장 진출, '글로벌 상생협력' 관건
지난해 우리 중소기업들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세계시장 진출에 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세계경제의 회복세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상생과 협력을 꾀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2010년 글로벌 시장 공략법을 알아봤습니다.
혈당측정기를 생산하고 있는 대전의 한 중소기업.
현재 18개국에 혈당측정기를 수출하고 있을 만큼, 제품에 대한...
방송일자 : 2010.03.12
-
세종시 수정법안 차관회의 통과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법이 어제 권태신 국무총리실장이 주재한 차관회의에서 의결됐습니다.
세종시 수정안 관련 법안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 특별법을 비롯해, 혁신도시건설지원 특별법, 산업입지개발법, 기업도시개발 특별법, 조세특례제한법 등입니다.
차관회의에서 통과된 5개 법안은 오는 16일에 열리는 국무회의에 상정돼 최종적으로 의결된 뒤, 3월 중순에 국회에 제...
방송일자 : 2010.03.12
-
기대감 속 'EBS 강의 수능 출제비율 상향 조정'
이명박 대통령이 기부한 재산으로 장학사업을 하는 청계재단이 첫번째 장학생 451명을 선발했습니다.
재단 이사장인 송정호 전 법무장관은 중학생 218명과 고교생 233명에게 지급한다고 밝혔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EBS 강의의 수능 출제비율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발언한 이후 학교현장에서는 사교육비 부담이 줄어들 것이란...
방송일자 : 2010.03.12
-
대형항공사 불공정행위 110억원 과징금
국내 2대 대형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저가 항공사들의 영업을 방해하는 불공정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됐습니다.
모두 110억원의 과징금과 함께 시정명령을 받았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저가 항공사 이용을 방해한 혐의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에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공정위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에 각각 103억9천700만원과 6억4천만원의 과...
방송일자 : 2010.03.12
-
오늘의 경제동향
네, 이번 순서는 <오늘의 경제동향> 시간입니다.
주식시장이 '네 마녀의 날'과 기준금리 결정이라는 고비를 큰 충격 없이 넘겼습니다.
네, 어제 코스피는 1,656.62를 기록하면서 거래를 마쳤구요...
코스닥은 전일대비 1.10포인트 내린 517.57를 기록했습니다.
네, 오늘은 어떤지 궁금한데요...
이 시각, 금융시장 현황, 알아봅니다.
...
방송일자 : 2010.03.12
-
희망리본프로젝트로 빈곤의 악순환 끊는다 [현장포커스]
이번 순서는 <현장포커스>입니다.
경제 전반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 하지만 취약계층의 경우, 빈곤에서 벗어나는 길은 쉽지 않습니다.
네, 그래서 정부는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희망리본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는데요, 오늘 현장포커스에서는 취재했습니다.
화면으로 만나 보시죠.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0.03.12
-
에너지 절약이 제 5의 에너지 [정책&이슈]
생방송 정보와이드 모닝 이번 순서는 <정책&이슈>입니다.
우리나라는 하루에 장충체육관 5개 분량의 석유를 쓰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세계에서 7등으로 석유를 많이 쓰고 있는 건데요...
네, 비산유국가 가운데 2위이고 아시아권에서는 가장 많은 소비량입니다.
에너지의 97%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는 상황을 감안하면, 정말 등에 식은땀이 날정도로 낭비를 ...
방송일자 : 2010.03.12
-
척주동해비 원고 [한국의 유물]
척주동해비 원고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0.03.12
-
한국 대중음악의 새 역사 [음악이 흐르는 세상]
매주 금요일, 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는 <음악이 흐르는 세상>시간입니다.
모차르트나 베토벤 같은 음악가도 당시에는 최고의 인기를 누린 대중 음악가였습니다.
한때의 인기를 넘어, 음악의 역사로 남는 음악가들이 있습니다.
우리 대중음악계에도 예외가 아닌데요.
오늘의 주제, 화면 함께 보시죠.
네, 오늘은 우리 대중음악의 새 역사를 쓰는 뮤...
방송일자 : 201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