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비전 제시

내일이면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지 꼭 일년이 됩니다.

세계적인 경제위기 속에서도 정부는 미래에 대한 준비를 위한 체질 개선에 힘을 기울여 왔는데요.

출범 1년을 돌아보는 연속기획, 오늘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달려온 정부의 행보를 되짚어봅니다.

녹색뉴딜과 녹색펀드, 그린 에너지.

경제위기의 한파 속에서도 전세계를 달군 핵심 키워드는 단연 '녹색'이었습니다.

이전에도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있었지만, 작년 8.15 경축사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향후 60년의 비전으로 제시한 '저탄소 녹색성장'은, 불과 반년만에 우리 경제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습니다.

비전 제시 이후,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성장과 일자리까지 해결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 마련 작업에 가속이 붙었습니다.

특히, 앞으로 4년간 36개 사업에 50조원을 투입해 96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녹색 뉴딜'은 이같은 정책의지가 잘 함축된 핵심 프로젝트로, 큰 줄기는 4대강 살리기를 포함한 녹색 SOC, 그린카 보급을 필두로 한 저탄소.고효율 산업기술 개발, '그린홈'과 '그린빌딩'으로 대표되는 친환경.녹색생활 사업, 이 세가지입니다.

녹색산업은 일반산업에 비해 7배 이상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 학계의 대체적인 견해입니다.

녹색 뉴딜 가운데서도,14조원을 투입해 760만 킬로미터를 정비하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이미 지난 연말 나주·안동지구가 착공에 들어가며 본격화됐습니다.

연평균 홍수로 인한 피해액만 2조7천억원.

하천복원으로 강이 되살아나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일자리 창출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엔 범정부 차원의 '4대강 살리기 기획단' 출범으로, 사업 추진에 한층 가속이 붙게 됐습니다.

여기에 최근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다양한 사업들이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고 있습니다.

지난주 열린 첫 회의에서, 2018년까지 전국을 친환경 자전거도로로 연결하고, 정부와 공공기관의 백열전구를 LED조명으로 바꾸는 한편, 세계 최초로 국가단위의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하는 등 구체적인 계획들이 제시된 가운데, 앞으로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이 제정되면, 녹색성장산업의 육성은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에너지난과 기후변화, 경제위기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복안인 녹색 뉴딜이 본격화되면서, 산업은 물론 우리 생활 전반에 녹색혁명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