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악의 실업사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지자체들도 단 하나의 일자리라도 더 늘리기 위해 온갖 아이디어를 짜내고 있습니다.
정부도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는 일자리창출사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데요.
이 시간엔 취재기자와 함께 3천6백개의 일자리를 목표로 하고 있는 지역맞춤형일자리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현근 기자 어서오세요.
지역맞춤형일자리사업은 말 그대로 지역에 실정에 맞는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하나요?
그렇습니다, 사실 그동안의 고용정책이 중앙정부 중심으로 진행되다 보니까 지역노동시장의 여건이 반영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습니다.
지역의 일자리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고, 지역맞춤형 일자리 공급을 위한 교육훈련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엇박자가 난 것이죠.
이번 정부의 지방맞춤형일자리사업은 지역의 주체들을 연계해 진정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일자리를 찾고, 직업훈련을 시켜 필요로하는 수요처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도록 지원해 주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원스톱센터라는 이름으로 해당 지역의 경영계와 노조, NGO 등이 참여해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비슷한 형태인데요.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는 이미 일자리창출사업이 중앙정부 중심에서 지역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지역 특성에 맞는 고용창출과 직업능력개발을 통해 지역간 노동시장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맞춤형일자리사업.
올해 3600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그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