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유성기 음반 속 100년 전 소리 만나요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유성기 음반 속 100년 전 소리 만나요

등록일 : 2024.03.20 20:58

변차연 앵커>
100년 전 우리 국악이나 명창의 소리는 어땠을까요?
LP 음반이 나오기 전 옛 소리를 들을 수 있었던 유성기 음반 전시가 광주에서 열렸습니다.
조선아악부터 명창의 소리까지 감동으로 다가오는데요.
그 현장을 임보현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임보현 국민기자>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시 동구)

조선시대 궁중음악인 '조선아악'을 담은 SP 음반, 모두 13장으로 1928년 우리나라 최초로 전기 녹음 방식으로 제작됐는데요.
유성기로 듣는 대신 전시장의 버튼을 누르면 디지털 음원으로 변환된 옛 소리가 나옵니다.
거문고, 대금, 해금 등이 어우러진 합주, 유명 음반 제작회사인 빅터사가 고급판으로 제작한 것인데요.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궁중음악 음반입니다.

인터뷰> 김지형 / 광주시 북구
"옛날 음악을 들어볼 수 있어서 봄이 오는 소리처럼 신비롭고 감동적이었어요."

192, 30년대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춘향전 음반도 눈길을 끕니다.
콜롬비아와 빅터 등 유명 음반제작사들이 발매해 당시 그야말로 흥행만점, 춘향전 녹음을 마친 명창들이 함께 찍은 기념사진도 남아 있는데요.
명창의 소리를 디지털음원으로 들어볼 수 있습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옛 소리 자료 전시.
국립국악원이 수집한 유성기 음반 100여 점과 가사지, 사진, 영상자료 등 쉽게 접할 수 없는 옛 자료를 선보였습니다.
궁중아악과 판소리는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돼 있을 정도로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큰데요.

인터뷰> 이애경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학예연구사
"세계적으로 가치가 높게 평가된 우리나라 음악을 직접 들어보고 체험하시면서 역사적인 의의나 예술적인 가치를 직접 느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최초의 소리를 기록하고 재생했던 유성기도 볼 수 있는데요.
1877년 에디슨이 초창기에 만든 원통형 실린더 유성기부터 1888년 내구성을 보완한 베를리너의 유성기까지... 관람객들은 눈을 떼지 못합니다.

인터뷰> 최서하 / 대전시 서구
"하나의 판에 어떻게 소리를 녹음할 생각을 했는지 신기하게 다가왔고 처음 보는 물건이다 보니까 정말 흥미롭게 관람했던 것 같아요."

올해 탄생 120주년을 맞은 호남의 대표적인 명창 임방울.
1950년대 수궁가와 적벽가의 공연 녹음 릴테이프를 비롯해 공연 사진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춘향가의 쑥대머리를 담은 음반은 20만 장 이상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는데요.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오는 임방울 특유의 절절한 소리에 관람객들이 푹 빠집니다.

인터뷰> 임동호 / 전북 고창군
"아주 애절한 슬픈 대목을 임방울 선생님이 잘하시잖아요. 그 음악을 전시에 와서 들으니 너무 감개무량합니다."

조선음악의 다양한 면모를 정리해 놓은 '조선음악소고' 책자도 볼 수 있고 1960년대 미국 문화인류학자 로버트가피어스 교수가 기록한 판소리 영상도 볼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명신 / 광주시 동구
"옛날 명창 선생님들의 사진과 소리를 들으니 너무 좋고 감동적입니다."

(취재: 임보현 국민기자)

귀중한 자료와 만나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오는 4월 초까지 계속됩니다.
100여 년 전 음반에 기록된 국악을 들어보면서 진한 감동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자료 전시.
소중한 우리 옛 소리의 매력에 푹 빠져볼 수 있는 이번 전시를 한번 찾아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임보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