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원자력은 발전소 해체비용 감안해도 가장 값 싼 에너지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청정에너지(청정에**)
등록일 : 2004.01.17 16:19
원자력은 발전소 해체비용 감안해도 가장 값 싼 에너지

발전단가
원자력발전은 건설비는 비싼 반면 연료비는 월등히 저렴한 특성을 가지
고 있습니다. 발전원별 원가는 건설비, 운영비 및 해체비용으로 구성되며,
운영비 특히 원자력 연료비는 타 발전원과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저렴합니
다.

원전 사후 처리비 적립
원자력발전소의 수명은 약 40년으로 수명을 다한 원전은 폐지하게 되는
데, 우리나라의 원전폐쇄는 동일 부지의 원전 2기를 기준으로 5~10년 정도
밀폐관리한 후 철거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매년 사후처리 충당금
을 적립하고 있으며 사용후연료 처분비, 방사성 폐기물 처분비, 발전소 철
거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발전소 철거비는 원자로 1기 처분비용에 물가 상승률을 적용해 25년간 매
년 균등 분할하여 적립하고 있습니다. 방사성 폐기물 처분비는 발생량, 처
분단가, 물가상승을 고려해 매년 충당하며, 사용후연료는 kg당 약 27만 원,
중․저준위 폐기물은 드럼당 86만 원을 기준으로 적립하여 kWh당 3.96원이
적립되어 연간 총 4,400여억 원이 됩니다. 2002년 말 기준으로 원자력발전
소 해체 및 원전수거물 처분비용을 위해 약 4조 4천억원이 적립되어 있습니
다.

원전 운영에 따르는 경제적인 이익
2001년도 원자력발전량인 1,121억 kWh를 유연탄발전으로 대체할 경우
9.8억 달러, LNG발전으로 대체할 경우 41.8억 달러의 추가적인 에너지수입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또한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유연탄발전에 비해 2,963만 탄소톤(국내 총 이산
화탄소 발생량의 약 24%), LNG 대비 1,930만 탄소톤(TC)이 저감된 것으
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원자력발전이 무역수지 흑자 및 기후변화협약 이행
에 크게 기여함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폐로 처분을 감안하더라도 타 발전원가 보다 저렴
에너지원별 건설비 및 해체비용 등을 감안한 판매단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2002년 실적, 전력거래소)
1) 판매단가(원/kWh)
2) 판매량(억kWh,%)
원자력 - 1) 39.87
2) 1,147(40.7)
석탄 - 1) 42.55
2) 1,085(38.4)
석유 - 1) 70.96
2) 171(8.1)
LNG - 1) 108.77
2) 17(0.6)
수력 - 1) 54.27
2) 18(0.6)


미국을 비롯한 원전 선진국에서는 이미 원전의 해체와 철거가 무리 없이
시행되어 우리나라도 철거에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기술자립을 위
해 해체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
내발전소 해체는 2015년 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며, 고준위 원전수거
물 처분은 아직 세계적으로 사례가 없어 정확한 비용 산출은 어려우나 지속
적으로 해외사례를 수집 검토하여 보완할 것입니다.
원자력발전소 1기를 짓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은?
국가 기간사업이기도 한 원전건설은 투입되는 자금이 천문학적 규모인데
다가 사업기간 또한 10년여에 이르고 동원되는 인력도 연인원 1,250만
명에 달하는 초대형 사업입니다. 한국표준형 원전인 울진3,4호기의 경우
1992년 5월에 착공해 1999년 12월에 완공되었고 33,459억 원의 건설비가
들었습니다. 월성 3,4호기는 1993년 8월에 착공해 1999년 10월에 완공되
었고 24,626억 원의 건설비가 소요되었습니다.

원자력발전소 1기는 서울과 부산거리의 10배에 해당하는 전선, 약 5,200
여 개의 단위공사, 200만 개 이상의 기기, 63빌딩 11배의 부피에 해당하
는 콘크리트가 소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