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엿새째를 맞고 있습니다.
수색구조대가 함미와 함수에 각각 출입문 한개씩을 확보했다는 소식인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Q1>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
A1> 아무래도 급한 것은 함미쪽입니다.
현재 실종자 다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인데요, 이 함미에 왼쪽문 하나는 개방됐다고 국방부는 최종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문을 지나는 통로가 막혀있어 선체 진입이 불가능합니다.
게다가 백령도는 현재 조류가 가장 쎈 ‘사리‘기간이기 때문에 수중탐색조차 어려운 상황입니다.
다만 실종자들의 호흡을 돕고 천안함의 부력을 만들어내기 위해 공기탱크는 계속 주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선 선체를 뚫고 진입하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Q2> 어제는 강한 조류속에서 작업을 하다가 구조대원이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었습니다.
대체 이 강한 조류가 작업에 어느정도 영향을 주는지 궁금한데요.
A2> 강한 조류 때문에 많은 분들이 속을 태우고 있습니다.
일단 우리나라의 서해 조류는 세계에서 세 손가락안에 들 정도로 강합니다.
특히 지금은 백령도 근해엔 조수의 높낮이가 가장 큰 사리 기간이라 기류가 가장 강한 시기입니다.
오늘 백령도의 유속은 5.6노트 정도 되는데요.
베이징 올림픽에서 수영 8관왕을 차지한 마이클 펠프스선수가 전력으로 조류를 뚫고 피치하면 2노트의 유속일 경우 겨우 제자리를 지킬 수 있다는 계산입니다.
따라서 아무리 최첨단 장비를 동원하더라도 3노트 넘어가는 유속에서는 몸을 가누기가 힘들 정도라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수색구조대는 이러한 악천후를 뚫고 적극적인 수색에 임하고 있다는 게 군당국의 설명입니다.
국방부는 특수요원들이 명예와 사기만을 가지고 작업을 한다며 수색에 대한 굳은 의지를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