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수형자들의 경우 출소 후 취업 장벽이 높아 일자리를 얻는데 어려움이 큰데요.
5개 정부부처가 힘을 모아 출소예정자 등에 대한 맞춤형 취업지원책을 내놨습니다.
경기도의 한 직업훈련교도소.
수형자들이 출소후 직업을 갖기 위해 전문 기술 연마에 한창입니다.
출소예정자
"사회진출을 1개월 정도 앞두고 있는데요. 특별히 복귀하자마자 취업을 위해서 이 정비기술을 배우기 시작했고, 취업이 어려운 가운데 쉽게 취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이처럼 직업교육을 받는 인원이 한 해에 3천7백여명에 이르지만, 출소 후 취업에 성공하는 사람은 절반에도 못미칩니다.
전과자라는 낙인 때문에 취업문을 열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법무부와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등 5개 관계부처가 손잡고 출소를 앞둔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취업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이를 위해 저소득층의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인 '취업성공 패키지' 사업 대상에 출소 예정자들을 포함시키고, 이들이 취업에 성공하면 최대 10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또 이들을 고용한 사업주에겐 최대 1년간 고용장려금도 줄 계획입니다.
창업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출소예정자들에게 적합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내년부터 전국 교도소에서 실시하도록 하는 한편, 기업체가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도 양성하기로 했습니다.
또 농업분야의 취업이나 창업을 장려하기 위해 교도소 내 농장도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번 협약으로 출소예정자 5만명에게 취업의 길을 열어줄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