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아동학대 신고, 대한민국을 바꾼다 [라이브 이슈]

4시& 브리핑

아동학대 신고, 대한민국을 바꾼다 [라이브 이슈]

등록일 : 2016.11.16

MC>
연이어 들려오는 굵직한 사건들 탓에 아동학대 예방에 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아동학대는 지난 10년 사이 2배가 넘게 늘었습니다.
이달 19일부터 25일까지는 아동학대 예방주간입니다.
늘어난 신고와 관심만큼, 아동학대를 뿌리 뽑을 뚜렷한 대책도 촘촘하게 꾸려지고 있을까요?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장화정 관장과 얘기 나눠봅니다.
1.
아동학대가 10년 사이 2배가 늘었습니다.
드러난 숫자니까 감춰진 미신고 학대를 포함하면 증가폭은 훨씬 더 크다고 볼 수 있겠죠?
2.
13일 대검찰청은 아동학대 범죄에 살인죄 적용 가능한 경우, 법정 최고형인 징역 30년, 무기징역, 사형 구형을 검토하도록 일선 검찰청에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늘어난 아동학대에 비해 법적인 안전망은 어느 정도 촘촘해졌다고 생각하십니까?
2-1.
이 부분에서 가장 궁금한 부분은 법적 형량 수준이 무거워질 경우 실질적으로 아동학대 예방의 효과는 어느 정도나 될까요?
3.
아동학대의 부모나 선생님, 아이들이 가장 믿는 사람들에게서 가해지는 형태가 대부분입니다.
궁금한 건 아동학대는 하는 사람들의 심리입니다.
대부분 훈육의 과정이었다고 하겠죠?
4.
가해 어른들에게도 교육과 교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부모나 교사를 비롯한 선생님들을 위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5.
아동학대는 100% 어른들의 책임입니다.
하지만 위험에 처한 자신의 상황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에 대한 교육도 꼭 필요하겠죠.
우리 아이들에게 예방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나요?
6.
아동학대 사건이 일어나면 대부분이 학대와 사고 사이에서 많은 실랑이가 벌어집니다.
본인은 물론 신고자들도 학대와 사고를 어떻게 구분하고 대처해야할까요?
7.
다양한 아동학대 유형들이 있습니다.
신체적-정서적-성적-방임...등 이런 유형들을 주변에서 관찰해야하는 방법도 다를 것 같습니다.
어떤 모습들을 주의 깊게 봐야할까요?
8.
정서적이나 성적 학대는 특히 신고 시에도 주의할 부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어떤 주의가 필요할까요?
9.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들이 신고하지 않을 경우 최고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신고의무자들의 신고는 어느 정도 늘어났는지?
더불어 이들의 신고가 아동학대 예방에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도 말씀해주신다면?
10.
아동학대 의심이 예상되면 반드시 신고를 해야 하는 신고의무자가 있죠.
신고 의무자들에게 주어지는 아동학대 예방 매뉴얼이 있다고 하던데요?
11.
아동학대 신고가 이뤄지면 아이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치료와 지원이 이뤄지나요? 가장 궁금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12.
신고나 격리 이후 2차 피해 가능성도 커보입니다. 어떤가요?
13.
아동학대 신고가 112와 통합됐죠?
아동학대관련 시설은 충분한지 모르겠습니다.
신고나 치료, 예방까지 아우를 수 있는 관련 시설도 충분히 구축되어 있을 지요?
14.
이번 아동학대 예방기간에는 어떤 활동들이 펼쳐지는지 간략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15.
마지막으로 아동학대를 당했거나 발견했을 때 대처법,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정리 한 번 해주신다면?
MC>
우리 아이들이 아동학대라는 굴레에서 벗어나는 길은, 주변인의 끊임없는 관찰과 관심이 최선인 듯 합니다.
오늘 말씀 감사드립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