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NCS 시범학교 취업률 급증…"확대 시행"
앵커>
국가직무능력표준, NCS기반 교육과정을 시범운영하고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졸업생 취업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일과 교육훈련, 자격연계를 위한 특성화고 지원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기계 부품과 금속을 깎는 기술을 배우는 한 고등학교 밀링가공 실습실.
10여명의 학생들은 국가직무능력표준인 NCS기반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개인에게 주어진 기계를 갖고, 실습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스탠딩> 신국진 기자 / skj7621@korea.kr
학생들은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사전에 익힘으로써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올해 3학년인 김명준 학생도 취업을 목표 NCS 기반 교육과정 시범학교로 지정된 이 학교에 진학했습니다.
일과 교육훈련, 자격을 연계하는 NCS기반 교육을 받으며 지난해 기계조립 기능사 등 자격증 2개도 땄습니다.
인터뷰> 김명준 / 광주공고 3학년
"지금 밀링 실습 시간인데요. 현장에 나갔을 때 필요한 것을 배우는 것 같고요. 확실히 현장에 나갔을 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013년 광주공업고등학교 등 3개 학교를 NCS기반 교육과정 시범학교로 지정했습니다.
시범학교에는 장비 등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이론 위주 과목은 실습 중심으로 바꿨습니다.
그 결과 2013년 25.8%에 불과하던 광주공고 졸업생 평균 취업률은 올해 58.1%까지 증가했습니다.
같은 시범학교로 지정된 양영디지털고와 충남기계공고도 각각 72.7%와 60.7%로 시범학교의 평균 증가율은 30.2%p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특성화고 평균 취업률 상승폭 8.6%p보다 3배 가까이 높은 수칩니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4년간 시범 운영한 NCS기반 교육과정 결과를 보고받고, 특성화고 교사들과 정보 정보를 공유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이기권 장관은 일과 교육, 훈련, 자격을 기반으로 한 NCS교육 과정은 취업으로 이어졌다며 현장중심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이기권 / 고용노동부 장관
"앞으로는 여타 특성화고등학교를 전문인력 NCS기반으로 개편을 해야 합니다. 교과 과정을 바꾸고 장비와 실습으로 현장중심을 바뀌어야 하고..."
고용노동부는 내년부터 전국 547개 특성화고 1학년 과정에 NCS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등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