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고령화 사회를 앞둔 우리나라에겐 노인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더 많은 노인일자리를 위해서는 관련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중요한데요.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노인일자리 성장지원센터를 마련했습니다.
앞으로의 역할과 전망까지 보건복지부 노인지원과 조신행 과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1.
먼저 노인일자리 성장지원센터가 문을 열게 된 배경부터 짚어주실까요.
2.
어르신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아닌 노인일자리 기업에 대한 지원이군요.
그렇다면 정확한 지원 대상은 어떻게 됩니까?
3.
시장형사업단과 고령자친화기업은 각각 어떤 식으로 운영이 되고 있나요?
4.
그동안 정부는 이런 고령자 친화적인 기업에 대해 다양한 지원을 해왔는데요.
어떤 성과와 한계가 있었나요?
5.
이제 이런 한계를 보완해 더욱 실효성 있는 지원을 하게 되는데요 자세한 지원 내용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6.
단순히 기업에 대한 지원만 하는 것이 아니라 탄탄히 자리 잡을 때까지 함께 한다고 하죠?
7.
앞으로 노인 일자리를 창업하려는 사람도 이 센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8.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어디에 문의를 하면 됩니까?
9.
어르신들의 입장에서 또 기업의 입장에서 앞으로 어떤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10.
마지막으로 더 많은 노인일자리를 위해 우리 사회가 가져야 할 인식에 대해서도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MC>
노인 일자리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함께 어르신들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선도 좀 더 긍정적으로 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노인지원과 조신행 과장과 함께 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