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문재인 대통령 유럽 순방 한-프랑스 경제협력 성과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문재인 대통령 유럽 순방 한-프랑스 경제협력 성과는?

등록일 : 2018.10.17

임보라 앵커>
유럽을 순방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프랑스 국빈방문을 마치고 오늘 두 번째 순방국인 이탈리아에 도착했습니다.
지난 프랑스 순방에서의 성과와 남은 과제에 대해 양국의 경제 협력 성과를 중심으로 짚어보겠습니다.
대외경제 정책연구원 조동희 박사와 함께 합니다.

(출연: 조동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임보라 앵커>
유럽을 순방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프랑스 국빈방문을 마치고 오늘 두 번째 순방국인 이탈리아에 도착했습니다.
지난 프랑스 순방에서의 성과와 남은 과제에 대해 양국의 경제 협력 성과를 중심으로 짚어보겠습니다.
조동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과 함께 합니다.

임보라 앵커>
문재인 대통령의 두 번째 유럽 순방이죠, 우선 이번 순방의 의미와 목적부터 짚어주시죠.

임보라 앵커>
문 대통령은 프랑스에서의 마지막 일정으로 한-프랑스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했습니다.
우선 이게 어떤 자리인지와 참석 의미 짚어 주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또 이 자리에서 ‘평화가 정착된다면 한국이 더 좋은 투자처가 될 것’이라는 문 대통령의 기조연설이 주목을 받기도 했는데요, 잠깐 들어보시고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한-프랑스 비즈니스 리더스 서밋(2018.10.16.현지시간)

존경하는 양국의 경제인 여러분,
프랑스는 유럽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고, 한국은 동북아의 거점 국가입니다. 서로에게 매력적인 시장임에 분명합니다.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된다면 한국은 더 좋은 투자처가 될 것입니다.
나는 지금이 한-불간 경제협력을 발전시킬 최적의 시기라고 자신 있게 말씀드립니다.
양국은 민주주의를 사랑하며, 인간을 존중하고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양국이 함께 하면 포용적이며 더 풍요로운 4차산업혁명 시대가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양국의 경제지도자 여러분이 앞장서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정부도 여러분의 교류와 협력을 힘껏 돕겠습니다.

임보라 앵커>
기조연설에서 문 대통령은 양국이 나아가야 할 경제협력 방향 세 가지를 제시했습니다.
어떤 내용인가요?

임보라 앵커>
그럼 이번 한·프랑스 정상회담 이후 나온 공동선언 가운데 경제 협력을 중심으로 주요 성과들을 짚어보겠습니다.
우선 양국은 작년 파리에서 개최된 제1차 고위급 양자 경제 대화를 연례개최하기로 했는데요,
관련 내용과 의미 짚어주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한편, ‘통상 전쟁’으로도 표현되곤 하는 현재 국제무역 변동기에서 양국의 공통된 입장도 확인되지 않았습니까?

임보라 앵커>
또 이번에 양국 간 신기술, 또 우주협력 강화와 교류 역시 합의됐는데요. 양국의 기술 교류 청사진도 짚어주시겠습니까?

임보라 앵커>
양국은 국제 원조에 관해에서도 논의를 나눴습니다.
특히 개발도상국 부채와 관련한 내용이 오간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떤 내용입니까?

임보라 앵커>
양국 간에 에너지 재생 분야라든지 농업 및 농식품 분야에 대한 협력도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기대 효과 어떻게 보시나요?

임보라 앵커>
경제 분야 이외에 과학·교육·문화·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 협력도 눈에 띕니다.
관련 성과와 기대효과를 짚어주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한편, 문 대통령은 EU의 한국산 철강 수입 제한에 대해 우리 측의 입장도 전달했습니다.
관련해서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과제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이번 유럽 순방의 가장 주요한 이슈는 다름 아닌 북한 비핵화와 제재해제 문제였습니다.
문 대통령은 프랑스에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의 역할을 요청했는데요.
관련해서 주목할 만한 부분이 있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이제 문 대통령은 프랑스를 떠나 이탈리아에 도착했습니다. 이탈리아 정상회담 이후 내일부터는 바티칸 방문과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면담도 예정되어 있는데요.
사실상 이번 순방에서 가장 주목받는 일정이지 않습니까?

임보라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바티칸 방문을 마친 이후 벨기에 순방과 아셈(ASEM)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할 예정입니다.
관련해 주목할 만한 부분 짚어주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문 대통령은 아셈(ASEM) 회의 이후 덴마크에서 열리는 제 1차 P4G 정상회의에도 연달아 참석합니다.
어떤 회의이고 우리 정부의 참석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이번 문재인 대통령의 순방에 거는 기대와 당부 말씀 마무리로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조동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과 함께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