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명인과 함께하며 '전통 서각' 이어간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명인과 함께하며 '전통 서각' 이어간다

등록일 : 2018.12.05

장현정 앵커>
목판에 글을 새긴 팔만대장경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입니다.
이처럼 나무판에 글자나 그림을 새겨넣는 것을 '서각'이라 하는데요.
전통 서각을 배우며 소중한 문화유산을 이어가는 사람들을 김남순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목포에 있는 전통 서각 연구소, 사람들이 나무판에 글씨를 새기느라 심취해 있는 모습입니다.
서각 명인인 벽산 정형준 선생님의 지도로 전통 서각을 배우고 있는데요.
먼저 서각 작업을 할 때 쓰는 칼과 망치로 글자를 새기는 연습부터 시작합니다.
간간이 명인의 기본 교육에 귀를 기울이기도 합니다.

“거의 90도 세우고 다시 나가면서 같은 몸이 돼야 하니까..”

인터뷰> 신효숙 / 전남 목포시
“글씨 써주는 사람하고 저하고 연결되니까 작품으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각을 하려면 무엇보다 나무의 성질과 무?결을 이해하고 그 특징을 살려 나무판을 조심조심 신중하게 깎아야 합니다.
끈기를 갖고 정성을 다해야 그럴듯한 하나의 작품을 만들 수 있는데요.
집중력을 키우는데 좋다 보니 초등학생부터 70대 어르신까지 다양합니다.

인터뷰> 심재금 / 전남 여수시
“집중하기 때문에 모든 잡념이 사라지고 시간 가는 줄도 모르게 돼요. 새벽이 됐는데도 시간을 제가 분별을 못 할 정도로 몰입하게 되고..”

이렇게 심혈을 기울여야 비로소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부터 표암 강세황의 난죽도권까지 옛 유명 서화를 그대로 옮긴 듯한 멋진 서각 작품이 탄생합니다.

인터뷰> 정형준 / 전통 서각 명인
“서각을 하는 사람이면 열이면 열 다 각을 하고 싶어 합니다. 한 작품 속에 그림이 있고 글씨가 있습니다. 추사 선생님의 그때의 시대적 상황이라든가 감정이 잘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서각 명인과 수강생들이 만든 작품 전시회가 1년에 한 차례씩 열리는데요.
세계 지도 속에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린 작품 등 80여 점이 선보여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인터뷰> 김영순 / 전남 목포시
“나무에도 이렇게 아름다운 글과 그림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정말 신기하고 아름답습니다.”

수강생들은 저마다 공들인 자신의 작품 소개에 열을 올립니다.

인터뷰> 김영준 / 전남 함평군
“일체유심조라고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는 뜻입니다.”

인터뷰> 장성훈 / 전남 완도군
“우공이산이라고 우둔한 늙은이가 산을 옮긴다는 뜻입니다. 뭐든지 한 가지 일을 꾸준히 하면 산까지 옮길 정도로 큰일을 이룬다는 맥락의 뜻이죠.”

전통서각 속에는 우리의 얼이 숨어 있다고 하는데요.
명인에게 배우고 익힌 작품들이 우리의 문화유산을 이어가는 소중한 밀알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국민리포트 김남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