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새정부 출범 정책이슈 바로가기 이매진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명품 강릉 곶감···옛 명성 되찾는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명품 강릉 곶감···옛 명성 되찾는다

등록일 : 2018.12.10

김교준 앵커>
강릉은 예로부터 곶감으로 이름난 고장입니다.
지금은 명맥만 이어오고 있지만 강릉 곶감의 명성을 되찾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품질도 표준화하고 통합 브랜드도 만들었습니다.
정현교 국민기자입니다.

정현교 국민기자>
껍질을 벗은 감들이 진홍색으로 물들어갑니다.
고운 빛깔을 머금은 곶감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습니다.
두 달 정도 말리면 명품 곶감으로 탄생합니다.
곶감은 많은 정성을 들어야 제맛을 냅니다.

인터뷰> 추경자 / 강원도 강릉시
“먼지 하나 묻을까 닦고 또 껍질이 붙어있을까 이걸 가지고 깎고 하잖아요. 그래야 예쁘게 말라요.”

표준 곶감 건조장이 보급돼 눈이나 비를 막을 수 있고 먼지 등 외부의 오염원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포장도 개별 포장으로 바꾸었습니다.
자연 바람과 환풍기를 이용한 건조를 병행해 수분 40%, 당도 55브릭스의 달콤한 곶감을 만듭니다.

인터뷰> 강성춘 / 곶감 생산 농민
“밤에는 대관령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과 낮에는 바다에서 불어오는 해풍으로 인해서 천혜의 지리적 환경이 곶감을 건조하는 데 최고로 좋은 조건입니다.”

강릉 곶감은 전통의 맛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숙성과정도 거칩니다.
생감에 비해 2.5배 이상의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감이 수확돼 곶감으로 변신하기까지는 20여 단계를 거쳐야만 비로소 당도 55브릭스의 달콤한 강릉 곶감으로 탄생합니다.
감나무 수종을 대봉으로 바꾸고 표준 건조장을 9곳으로 늘렸습니다.
브랜드도 '신사임당 곶감'으로 새로 붙였습니다.

인터뷰> 이규진 / 강릉시농업기술센터 소득작목 관계자
“노후 감나무 품종 갱신사업을 통해 기반조성 사업을 했고요. 그 기반을 바탕으로 해서 백 년 전통 강릉 곶감의 명성을 복원하기 위해서 우천 시에도 곶감을 만들 수 있는 전천후 표준 건조장 시설을 지원했습니다.”

하루 5천 접이 팔릴 정도로 이름났던 강릉 곶감의 명성이 주민들의 노력으로 다시 영글어가고 있습니다.
(영상촬영: 김창수 국민기자)

국민리포트 정현교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