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경복궁 사대문 모두 열려···'영추문' 43년 만에 개방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경복궁 사대문 모두 열려···'영추문' 43년 만에 개방

등록일 : 2018.12.13

장현정 앵커>
경복궁에는 4개의 대문이 있는데요.
이번엔 서쪽에 있는 영추문이 문을 열었습니다.
무려 43년 만인데요.
영추문이 개방되면서 경복궁 동서남북 어디에서나 출입할 수 있게 돼, 입장객은 물론 서촌지역 주민들도 반기고 있습니다.
박길현 국민기자입니다.

박길현 국민기자>
현장음>
"얼씨구 좋다~"

현장음>
"문을 여시오!"

경복궁 서쪽에 있는 영추문의 문이 열립니다.
굳게 닫혔던 육중한 대문이 빗장을 풀고 관람객을 맞이합니다.
천장에 그려진 백호의 기운을 받으며 입장한 시민들은 반가운 마음으로 경복궁의 이곳저곳을 둘러봅니다.

현장음>
"영추문 얼씨구~"

인터뷰> 장상희 / 경기도 고양시
"43년 만에 개방된 영추문을 통해서 저희가 들어왔습니다. 더구나 오늘이 처음 개방되는 날인데 저희가 이 자리에 함께할 수 있어서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습니다."

인터뷰> 김경남 / 경기도 용인시
"막혔던 공간이 이제 확 뚫리는 소통의 공간이 됐다는 게 정말 시민으로서 기쁘고 행복하고..."

경복궁에는 동서남북 4개의 대문이 있는데요, 남쪽의 광화문, 북쪽의 신무문, 동쪽 출입문에 이어 이번에 서문을 연 겁니다.
43년 만에 전면 개방된 영추문은 관광객들의 편리 도모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문 개방을 반기는 것은 관람객만이 아닙니다.
서울의 관광지 중 한 곳인 서촌마을로 통하는 문이 열린 데 대해 주민과 상인들도 기대는 남다릅니다.

인터뷰> 하시연 / 서울시 마포구
"서촌에 오게 되면 계속 이 문을 이용해서 다니게 될 것 같아서 편리한 것 같아요."

인터뷰> 정석원 / 서울시 종로구
"대경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종마을이 활성화되고 또 지역 주민들에게 경제적인 활성화가 이루진다는 측면에서..."

조선 시대 문무백관들이 출입했던 영추문은 궁을 드나드는 백성들에게도 허락된 문이기도 했습니다.
영추문은 아픈 역사의 흔적도 안고 있습니다.
임진왜란 때 화재로 붕괴됐다가 150여 년 전 흥선대원군에 의해 다시 건립됐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천차 노선을 만드는 과정에서 석축이 무너져 철거됐다 1975년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됐습니다.
복원 후 보안상의 이유 등으로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됐다 이번에 개방된 겁니다.

인터뷰> 정재숙 / 문화재청장
"광화문과 신문문, 국립민속박물관 출입문과 함께 영추문이 더해져 4곳이 됐습니다. 4통이 된 것입니다. 여러분들 앞으로 더 널리 이 문을 활달하게 드나드시면서 고궁의 힘을 받아가셨으면 합니다."

(촬영: 차경미 국민기자)

하지만 영추문이 제자리를 찾은 것은 아닙니다.
복원하면서 원래 있던 자리에서 45미터쯤 떨어진 곳에 세웠습니다.
문화재청은 2040년까지 영추문을 원래 위치에 조선 시대 모습 그대로 복원한다는 계획입니다.

국민리포트 박길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