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내가 먹을 장···이웃과 함께 담가요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내가 먹을 장···이웃과 함께 담가요

등록일 : 2019.04.08

이유리 앵커>
음식 맛은 장 맛이라고 하죠.
그만큼 장은 우리 음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데요.
아직 많은 집이 아니지만 건강과 우리의 맛을 담아내기 위해 직접 전통장을 만드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박세정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세정 국민기자>
백사실 마을
(장소: 서울시 종로구)

북한산 기슭 한 주택의 옥상.
장 담그러 모인 주부들의 목소리가 계곡의 봄을 깨웁니다.

현장음>
"우와!"
(이거 제대로다.)

메주에 묻은 짚과 먼지를 흐르는 물로 닦아내고 소금을 물에 풀어 불순물을 가라앉힙니다.
항아리에 메주를 넣고 소금물을 붓고 염도를 맞춥니다.

현장음>
"우리가 여기 이 정도 부으면 딱 맞는 거예요."

잡내를 없애고 살균과 단맛을 위해 숯과 고추 대추를 넣으면 장 담그기가 끝납니다,
마지막 새끼줄로 금줄을 쳐 줍니다.

현장음>
"잘 익어라 간장 맛있게 되어라!"

6개월 뒤면 정성이 가득 담긴 된장을 먹을 수 있단 생각에 즐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 윤지영 / 서울시 용산구
"이웃들과 함께 만나서 이렇게 장을 담가 보니까 이웃들도 알게 되고 또 장도 맛있게 될 것 같아 기대됩니다."

경기도 군포의 한 아파트 베란다.
콩을 삶아 정성스럽게 뜬 메주로 장을 담그는 손길에 푸근함이 묻어납니다.

현장음>
"하루 전날에 잘 씻어서 하루 정도 말려놔야 됩니다. 이걸 차곡차곡 이렇게 (넣어주세요)"

30년 넘게 아파트에서 장을 담가 온 주부는 올해도 베란다 장독대 항아리에 장을 가득 채웁니다.
아파트 베란다에서 장이 숙성되는 시간은 마당에서 담그는 장 60일 정도보다 더 걸리지만 장맛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인터뷰 > 박현자 / 경기도 군포시
"아파트에서 해도 일조량은 적지만 환기를 잘하고 오전, 오후에 잠깐씩 햇빛을 보면 돼요."

가정에서 장을 담그는 것이 생각만큼 어렵고 번거롭지 않습니다.
농협이나 농민단체에서 잘 띄운 메주를 판매하고 농촌지도소 등에서 운영하는 전통장 교실에 참여하면 누구나 나만의 장을 배우고 담글 수 있습니다.

인터뷰 > 박경희 / 서울시 성북구
"말로만 듣던 장 담그기를 직접 해 보니 어렵긴 하지만 집에서 한 번 해 봐야겠어요."

인터뷰 > 전명배 / 집밥 활동가
"즐겁게 한 번 경험해 보시면 집에서 자신 있게 장 담그기 잘하실 수 있을 거예요."

(취재:박세정 / 편집:박성애)

김치와 함께 매일 밥상에 오르는 장류.
발효음식 문화도 배우고 가족의 건강도 챙길 수 있는 전통장 만들기에 도전해 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박세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