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문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주요 일정과 기대 성과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문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주요 일정과 기대 성과는?

등록일 : 2019.04.15

임보라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내일부터 7박 8일 동안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3개국 순방에 나섭니다.
신북방정책의 외연을 본격적으로 확장하는 의미있는 행보가 예상되는데요, 각국 별 주요 일정과 과제 살펴봅니다.
서울 스튜디오로 연결합니다.
명민준 앵커 나와주세요.

명민준 앵커>
네, 서울 스튜디오입니다.
조영관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출연: 조영관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명민준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내일부터 7박 8일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을 국빈방문합니다.
이번 국빈방문 배경과 의미부터 짚어주시죠.

명민준 앵커>
먼저 문재인 대통령은 내일부터 18일까지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해 베르디 무하메도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두나라 간 상생번영을 위한 실질 협력방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입니다. 한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은 1992년 수교 이래 4차례의 정상회담을 가졌는데요.
우리나라와 어떤 교류관계를 가져온 나라인가요?

명민준 앵커>
키얀리 가스화학플랜트 건설사업이 보여주듯이 한국기업들이 투르크메니스탄의 고부가가치 산업현대화 정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의 에너지 분야의 진출 현황은 어떤가요?

명민준 앵커>
지금까지의 에너지플랜트 위주의 협력을 넘어 섬유·ICT·농업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련해 얼마만큼의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아울러 보건·의료·환경 분야에 우수한 역량을 가진 우리나라와 협력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은데요,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이후 18~21일 문재인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해서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두 나라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우즈베키스탄은 우리 신북방정책에 있어 얼마만큼 중요한 국가인가요?

명민준 앵커>
우즈베키스탄은 2016년 말 미르지요예프 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경제 개혁, 개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 내용은 무엇이며, 우리 기업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양국은 그동안 수르길 에너지 프로젝트 등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 성과를 거두어 왔습니다. 이러한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이 우즈베키스탄 경제에 주는 영향은 무엇이며, 향후 협력은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우즈베키스탄은 한국의 경제발전경험 공유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국제도시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개발 사례와 노하우를 우즈베키스탄 경제자유구역 개발에 적용시킬 예정으로 알려졌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명민준 앵커>
또 이번에 문 대통령의 우즈베키스탄 방문을 계기로 한-우즈베키스탄 비즈니스포럼도 개최될 예정입니다.
우즈베키스탄 주요 경제인들이 참가하게 될텐데 특히 어떤 산업분야의 교류를 기대해 볼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이렇게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문재인 대통령은 21~23일 카자흐스탄을 방문합니다.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는데요, 카자흐스탄은 한국의 대중앙아 제1위 교역국이자 최대 투자대상국인데요, 먼저 교류 현황과 중요성 짚어주신다면요?

명민준 앵커>
사실 지난달 서울에서 제8차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공동위원회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 무역·경제·투자 분야를 비롯해 산업·에너지 자원, 문화·관광·보건의료 등 주요 관심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이 논의되었는데요, 이번 문 대통령의 국빈방문으로 관련 분야들의 경제협력에 더 힘을 받게 되겠죠?

명민준 앵커>
우리 기업의 알마티 순환도로 사업 참여와 카자흐스탄의 운송망 활용 등 양국 간 물류 부문의 협력도 중요한 관심의 대상입니다. 물류 협력을 통한 경제적 기대효과는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한편 이번 만남에 카자흐스탄에 묻혀 있는 항일무장투쟁 지도자인 홍범도 장군의 유해 송환 문제도 언급될 것으로 보입니다.
카자흐스탄 정부 역시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관련 내용과 의미 짚어주신다면요?

명민준 앵커>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중앙아시아 순방에 대한 기대성과,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지금까지 조영관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