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남북정상회담 합의사항인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가 시작됐습니다.
지난 12일에 구성된 남북정상선언 이행 종합기획단은 15일 오전에 회의를 갖고, 이 문제를 집중 논의했습니다.
최고다 기자>
Q1> 서해평화협력지대는 정상회담 내용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성과라고 할 수 있는데, 어떻게 추진하기로 했습니까?
2007 남북정상회담 이행 종합기획단은 15일 오전 7시 정부중앙청사에서 첫 회의를 열고,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오는 12월 초에 북측과 별도회담을 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15일 회의에서 이관세 통일부 차관은 남북간 별도회담인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공동위원회` 1차 회의를 12월 초에 여는 방안 등을 포함한 남북정상회담 후속조치를 보고했습니다.
한반도 공동번영의 중추역할을 할 사안이기에 정부 부처가 총출동하는 테스크포스도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청와대와 통일부, 국방부, 해양수산부, 건설교통부 등 관련부처들이 대거 참여하게 됩니다.
정부는 이르면 다음달 초에 열릴 총리회담에서 북측에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공동위원회` 구성을 제안할 계획입니다.
기획단은 또 정상회담에서 이미 합의된 총리회담과 국방장관회담, 경제협력공동위원회 등 3개 회담을 11월 내에 모두 완료하고, 합의사항 이행을 위한 틀을 갖춘 뒤 12월에는 가시적 성과를 도출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이행 기획단은 국무조정실 기획차장과 통일부, 외교부, 국방부, 국정원 등 13개 부처의 차관과 청와대안보수석, 경제수석, 시민사회수석 등으로 지난 12일에 구성됐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