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113년 전 북춤 '동래고무' 반주 음반 찾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113년 전 북춤 '동래고무' 반주 음반 찾아

등록일 : 2019.05.08

조은빛나 앵커>
과거 대한제국 시절, 전통 북춤의 반주음악이 담긴 귀중한 음반이 발견됐습니다.
부산 동래지역 기녀들이 '동래 고무'라는 북춤을 출 때 악공들이 연주한 반주음악인데요.
113년 전 악공들의 북춤 반주 음악, 과연 어떤 소리가 날까요?
김민영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민영 국민기자>
들으신 음악은 부산의 '동래고무'라는 북춤 반주 음악. 지난 1906년 미국 빅터 레코드사에서 녹음해 1년 뒤 발매한 것인데요.
'영산도드리' 라고 쓴 제목과 '한국 동래 악공 연주'라는 한글과 한자가 보입니다.

인터뷰> 김온경 / 부산시 무형문화재 '동래고무' 예능 보유자
“영산도드리라는 것은 영산회상곡에 나오는 도드리 부분입니다. 저희들이 고무를 출 때 처음에 잔영산에서 시작해서 염불도드리, 자전도드리 이렇게 나가는데..”

113년 전 대한제국 시절에 만든 귀중한 음반이 발견된 사실을 공개하는 자리.
부산 '동래고무' 보존회는 한 고 음반 수집가의 노력으로 미국 도서관에서 찾았다고 밝혔는데요.
현지에서 녹음해 온 전체 3분 33초 분량의 '동래고무' 반주 음악 가운데 1분가량의 음원이 공개됐습니다.
음반에 담긴 악공들의 연주 악기는 피리와 대금, 장구, 해금 등으로 정겹게 들립니다.

인터뷰> 오상흔 / 부산시 북구
“이번에 음원을 발굴하게 되었던 것은 우리 지역 문화를 비롯해서 우리 민족 문화의 아주 큰 쾌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산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돼 있는 '동래고무'는 1900년대 초 부산 동래 교방의 기생들이 추던 전통 북춤.
하지만 1905년 이후 동래 관아에 소속된 기생들이 해체됐고, 그 여파로 광복 이후 그 명맥이 끊기기도 했습니다.
다행히 현재 '동래고무' 예능 보유자인 김온경 선생의 노력으로 간신히 유지되고 있는데요. 반주 음악은 악곡이 남아 있지 않아 지난 세월 다른 음악으로 대신해왔습니다.
오랜 세월이 흘러 그 정체를 알게 된 부산 동래지역 무용 음악, 113년 만에 새롭게 편곡된 음원에 맞춰 직접 시연해 보이는 자리도 마련됐습니다
지난 굴곡의 세월을 뒤로하고 '동래고무' 춤사위를 원형 비슷하게 재현해낸 것입니다.

인터뷰> 하연화 / 부산시 무형문화재 동래고무 이수자
“저도 동래고무 이수자로서 같이 계속 춤을 춰왔는데 오늘 새로운 음악에 춤출 수 있는 모습도 새롭고 아주 귀한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인터뷰> 김온경 / 부산시 무형문화재 동래고무 예능 보유자
“새롭게 음원이 발견된 음악에 맞춰 춤을 추니까 춤의 정체성이라든지 동래지역의 정서가 더 나올 수 있었습니다.”

110여 년 만의 민속 음악 부활, 그 의미와 울림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영상촬영: 임수빈 국민기자)

국민리포트 김민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