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평생 모은 민속음악 자료 한 자리에···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평생 모은 민속음악 자료 한 자리에···

등록일 : 2019.07.17

조은빛나 앵커>
민요와 굿, 그리고 판소리는, 우리 민족의 삶 속에 이어져 내려온 '전통 민속 음악'인데요.
전통음악 연구의 대가로 불리는 이보형 선생이, 전국 곳곳을 누비며 수집하고 기록한 '민속음악 자료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팔십 대가 될 때까지 평생 발로 뛴 열정을 고스란히 엿볼 수 있는데요.
황나영 국민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황나영 국민기자>
소중한 민속 음악 자료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회, 전통음악 연구자인 이보형 선생이 전국의 민속 현장과 숨은 명인을 찾아다니면서 수집하고 채록한 것인데요.
녹음기가 귀하던 시절, 전국을 누비며 수첩에 한 자 한 자 써 내려간 손때묻은 기록은 당시 현장 분위기를 그대로 전해줍니다.

인터뷰> 정세인 / 청주시 흥덕구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직접 채록한 민요 자료들이 진짜 인상 깊었던 것 같아요.”

일제강점기에 발매된 유성기 음반도 선보였는데요.
왕실 음악의 명맥을 이어가던 이왕직 아악부가 지난 1928년에 연주한 조선 시대 궁중음악 '보허자'.
지난 1937년 '근대 명창' 송만갑이 70대 나이에 부른 판소리 수궁가 중 '고고천변' 음반도 보입니다.
현장에서 민속 음악 소리를 담아낸 오래전 릴 테이프 녹음기도 선보였습니다.
민속 음악 연구에 평생을 바친 이보형 선생, 이번 전시에서는 지난해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한 만 3천여 점 가운데 일부가 선보였습니다.

인터뷰> 김혜련/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정보이용과 사무관
“이 자료들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유일본에 해당되기 때문에 민속 음악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연구 자료가 됩니다.”

풍어를 기원하며 굿이 펼쳐진 어촌마을 현장 사진, 엄마가 자녀와 함께 보며 대화를 나눕니다.

인터뷰> 강성은 / 세종시 아름동
“이보형 선생님의 노고가 새삼 느껴지고 아이들에게 우리의 것을 많이 알려줘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김홍도의 그림 '무동'에서 다양한 전통악기로 편성된 <삼현육각> 연주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지난 1940년대 이후 사라진 연주 모습을 이어가게 된 것도 이보형 선생의 노력 덕분입니다.

인터뷰> 임혜정 / 서울대 국악과 강사
“삼현육각을 기억하고 있던 악사들한테 예전에 연주됐던 삼현육각 중 어떤 곡을 연주했는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악사들이 다시 기억해서 연주를 할 수 있는지 조사해서 사진을 찍으시고 음악들도 다 녹음해 놓으셨어요.”

농악 공연에 쓰던 소고와 꽹과리, 판소리 반주에 쓰이던 소리북 등 민속 악기도 함께 전시됐는데요..

(영상촬영: 양만호 국민기자)

전시장 한편에는 신명 나는 장단과 함께 화려한 춤 동작을 펼치는 판굿을 모니터 화면으로 보여줍니다.
공연 내용을 설명하는 이보형 선생의 육성도 들을 수 있습니다.

현장음>
“당제를 지내는 이러한 것 가운데는 두레패들이 지내는 당제가 있습니다.”

인터뷰> 이호찬 / 충북 충주시
“민속 음악은 우리 선조들의 삶이 묻어있고 문화인데 이런 자료를 수집한 게 정말 훌륭한 일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귀중한 민속 음악 자료를 직접 접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오는 8월 말까지 계속됩니다.
자칫 사라질뻔한 소중한 우리 민속 음악을 이번 자료 전시에서 접할 수 있는데요.
우리 것을 지키는데 평생을 바친 한 민속학자의 노고와 열정이 묵직한 울림을 줍니다.

국민리포트 황나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