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마을 주민 화합 다진 '만드리 풍년제' 재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마을 주민 화합 다진 '만드리 풍년제' 재현

등록일 : 2019.07.24

조은빛나 앵커>
농사일이 기계화되면서, 들판에서 펼쳐지던 우리 전통 민속놀이는 거의 사라졌는데요.
광주의 한 농촌마을에서는, 마지막 김매기를 하면서 주민 화합을 다지는 전통 행사인 '만드리 풍년제'가 재현됐습니다.
정겨운 노랫소리가 들녘에 울려 퍼졌는데요.
최찬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찬규 국민기자>
광주의 한 농촌 마을, 흥겨운 풍물놀이와 함께 '만드리 풍년제'가 시작됩니다.

인터뷰> 정병철 / 만드리 풍년제 보존회장
“소중한 전통문화가 사라져가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우리 고장 문화인이 만든 풍년제입니다.”

지역 농민들로 구성된 '만드리 풍년제' 보존회원들이 해마다 7월 백중 무렵 전통 행사를 재현하는데요.
'농자천하지대본' 이 새겨진 깃대를 앞세우고 들녘으로 향하는 사람들, 논에 다다르자 힘든 걸 잊고 일 잘하라는 의미로 다시 풍물놀이가 펼쳐집니다.
이제 김매기가 시작되면서 '만드리 풍년제'를 본격 재현해 보입니다.
'만드리'는 마지막 세 번째 김매기를 말하는 전라도 사투리인데요.
풍물 소리에 상머슴들이 덩실덩실 춤을 추고, 소리꾼의 신명 나는 선소리가 들판에 울려 퍼집니다.

현장음>
“앞산에 비가 몰아오는데 우장 삿갓 허리에 두르고~”

이번에는 김매기를 하는 상머슴들의 뒷소리가 이어집니다.

인터뷰> 김재문 / 만드리 풍년제 보존회원
“농요가 있어서 힘든 농사일을 지혜롭게 해냈습니다. 잊혀져 가는 우리 농요를 한번 불러보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구성지게 농요를 부르는 사람들, 뽑은 잡초를 손에 든 채 춤을 추고 다시 김매기를 하는 동작을 되풀이하는데요.
드넓은 들판, 한여름 더위 속에서도 흥겨운 분위기로 일하다 보니 힘든 줄도 모릅니다.

인터뷰> 곽창기 / 만드리 풍년제 보존회원
“김매기를 해보니 여름 내내 땀 흘려 일한 보람이 있습니다. 올해도 대풍년이 돼서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김매기를 잘 마친 사람들이 마을로 돌아가는데요.
모형으로 만든 황소 잔등에 탄 상머슴이 한마디 외칩니다.

현장음>
“올해 농사 풍년 되면 내년에 더 많이 새경(머슴에게 주는 돈) 올려주시오!”

대문 앞에서 일꾼들을 기다린 논 주인, 상머슴에게 수고했다며 술을 따라주고 안주도 먹여줍니다.

현장음>
“많은 다과가 준비돼 있으니 마음껏 드시고 놀다 가시오~”

주인이 집 마당에 푸짐하게 차린 음식, 땀 흘린 일꾼들을 위한 한마당 잔치가 벌어집니다.

인터뷰> 강숙희 / 만드리 풍년제 보존회원
“주인님이 많이 차려줘서 잘 먹고 있습니다.”

두 시간 가까이 펼쳐진 유서 깊은 전통 민속행사, 이를 지켜본 관광객들은 진한 감동을 받습니다.

인터뷰> 박준기 / 전남 나주시
“농부의 노고를 알 수 있는 계기가 됐고 힘든 농사일을 쉽게 해냈다는 지혜를 볼 수 있었습니다.”

여름 내내 힘든 농사일 속에 마을 주민 모두의 화합을 다진 만드리 풍년제, 우리 농촌의 아름다운 풍속을 보여준 뜻깊은 시간이 됐습니다.

국민리포트 최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